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시조성에 나서면서,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는 전담 조직이 출범했다. 국토교통부는 'AI 시티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공식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고 9월 5일 밝혔다.
이번 TF는 국토교통부 내 도시, 건축, 공간정보, 모빌리티 등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국토정보공사(LX) 등 주요 연구·실행 기관이 참여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앞으로 인공지능 도시 조성의 밑그림을 본격적으로 그려간다는 계획이다.
AI 시티는 그동안 추진돼온 스마트시티보다 한 단계 더 진화된 개념으로, 도시 내 다양한 요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행정과 공공 서비스 전반의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다. 기존 스마트시티가 주로 버스정보시스템이나 CCTV 기반의 통합운영센터, 스마트 횡단보도 등 개별 기술 중심이었다면, AI 시티는 이보다 더 포괄적인 도시 문제 해결과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AI 시티는 도시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 혼잡이나 에너지 소모, 재난 안전 등 다양한 이슈를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도화된 데이터 인프라와 AI 알고리즘 활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AI 시티 추진을 위한 시범사업 예산으로 40억 원을 반영했다. 이 예산은 AI에 특화된 시범도시 부지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 경쟁력이 미래 국정의 핵심 정책 방향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동시에 디지털 전환과 도시 인프라 개선이 결합된 새로운 도시 모델로, 국내외에서 정책적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