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AI) 기술과 주소정보의 융합에 초점을 맞춘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하며, 주소정책의 미래 방향과 글로벌 확산 전략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025년 9월 25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5 주소 혁신 국제 콘퍼런스’를 주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26개국 해외 전문가를 포함해 국내 산·학·연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가해, AI 기술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주소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첫날 진행되는 1세션에서는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카타르 등 4개국이 자국의 주소 제도를 발표하고, 우리나라는 이른바 ‘K-주소’의 우수성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 자리에서 한국은 디지털 주소체계의 국제적 확산을 위한 공동 협력도 제안할 방침이다.
이어지는 2세션에서는 한국형 주소체계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들과의 구체적인 협력도 이뤄진다. 키르기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한국의 주소체계를 자국에 적용하기 위한 현대화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과 공식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 주소 시스템의 글로벌 확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튿날 프로그램은 기술과 정책의 접점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룬다. 3세션에서는 ‘AI 대전환 시대의 주소정책 미래’를 주제로, KAIST 이채석 박사, 한국법제연구원 박광동 박사, 건국대학교 김지영 교수가 기조 발표를 맡아 인공지능 기술과 주소정책 간 접목 가능성, 법제도적 정비 방향 등을 제시한다. 같은 세션에서는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주관하는 ‘주소정보 활용 산업 아이디어 공모전’의 최종 발표대회도 함께 열린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AI 기반 주소정보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국내 기술의 해외 진출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주소 체계와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은 새로운 산업적 동력을 창출할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주소 정보관리의 차원을 넘어, 국가 공공데이터 시스템을 미래 산업 기반으로 전환시키려는 정부의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다. 향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주소정보의 정밀성과 활용도는 물류, 교통,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