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지역 기반 디지털 산업 전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AI 실증도시로서의 역할을 명확히 하겠다는 광주시의 전략에 시의회가 제도적 지원을 가세한 모양새다.
광주시의회는 10월 13일 제337회 임시회를 열고, ‘AI 실증도시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포함한 주요 안건을 의결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해당 특별위원회 구성안이 의원 전원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이번 특위는 광주시가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AI 산업 관련 정책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지속가능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AI 실증도시는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생활과 산업 현장에 적용돼 성과를 검증받는 도시를 의미한다. 광주시가 이 같은 콘셉트를 내세운 이유는 AI를 새로운 지역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 때문이다. 다만 정책 실현 과정에서 여러 부처와 위원회 소관 사안들이 겹치는 구조적 한계가 있어, 이를 전담할 특별기구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설명이다.
당초 시의회는 위원 구성 수를 5명으로 제한하려 했으나, 다양한 분야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는 이유로 위원 수를 ‘9명 이내’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각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고르게 참여해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광주시 AI 산업 육성 정책을 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인사청문특별위원회가 오미란 후보자에 대한 청문 결과도 보고했다. 특위는 일부 투명성 부족은 지적했으나, 행정 및 연구 경험과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고려할 때 재단 운영에 적합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광주시의 이번 임시회는 총 12일간 진행되며, 조례안 15건과 동의안 42건 등 총 72건의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특히 10월 14일에는 광주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교육청을 포함한 주요 기관을 대상으로 시정질문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 같은 흐름은 광주시가 AI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과정으로 읽힌다. 시의회 차원의 지속적인 감독과 제도적 지원이 병행된다면, 지역 내 AI 생태계 구축 속도도 한층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