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자본요건 때문에 은행들이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보유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지면서 증가하는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6일(현지시간)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금융 전문지 뱅커(The Banker)의 보도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현행 바젤위원회(Basel Committee) 규정으로 인해 은행들은 참여를 열망하는 시장에서 오히려 소외되고 있다.
영국 기반 디지털 자산 파생상품 거래소 지에프오엑스(GFO-X)의 아르나브 센(Arnab Sen) CEO는 현행 규제가 전통 금융기관들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를 막고 있다고 경고했다.
런던에서 열린 파이낸셜 타임즈 디지털 자산 서밋(Financial Times' Digital Assets Summit)에서 센 CEO는 "시장은 은행들이 비트코인 거래와 담보 서비스를 중개하기를 갈망하고 있지만, 현행 규정은 이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의 핵심은 바젤 프레임워크로, 이 규정은 비트코인과 같은 헤지되지 않은 암호화폐 보유에 1,250%의 위험 가중치를 부여해 고위험 자산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은행이 해당 익스포저를 지원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자본금 규모를 크게 증가시켜 비즈니스 타당성을 떨어뜨린다.
센 CEO는 뱅커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규정들이 은행들의 시장 진입을 막고 있다"며 "기관 고객들로부터 강한 수요가 있지만 현행 규제 하에서는 은행들에게 실행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러한 규제적 병목 현상은 거래 활동을 비규제 플랫폼이나 비은행 중개자들로 이동시키고 있어 시장 감독과 시스템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센 CEO는 전 세계 규제 당국 간에 바젤 규정 하에서 비트코인 취급 방식을 재검토하기 위한 논의가 이미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변화가 곧 나타날 수 있다는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그는 기관 암호화폐 채택에 관한 패널 토론에서 "바젤 접근법이 올해 재검토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기관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로비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런던 증권거래소 그룹(London Stock Exchange Group)의 씨디에스클리어(CDSClear)와 디지털에셋클리어(DigitalAssetClear) 책임자인 마커스 로빈슨(Marcus Robinson)은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며 기관들이 암호화폐에 대해 "증가하는 관심과 편안함"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의 디지털 자산 책임자 로저 베이스턴(Roger Bayston)은 기업들이 특히 암호화폐 자산을 담보로 한 대출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센 CEO는 미국에서 최근 폐지된 SAB 121(암호화폐 수탁자에게 회계 부담을 부과했던 규정)이 은행들의 수탁 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폐지를 "보다 광범위한 기관 참여를 위한 첫 번째 단계"라고 설명했다.
센 CEO는 "다음 지적 단계는 은행 대차대조표에서 비트코인이 어떻게 취급되는지 재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베이스(Coinbase)와 이와이-파르테논(EY-Parthenon)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기관 투자자의 86%가 디지털 자산에 노출되어 있거나 2025년에 암호화폐에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진화하는 규제 환경 덕분에 기관들은 암호화폐를 균형 잡힌 투자 전략의 정당한 구성 요소로 점점 더 인식하고 있다.
자포 뱅크(Xapo Bank)의 투자 매니저 가디 차이트(Gadi Chait)는 최근 인터뷰에서 과거에는 기관 투자자들이 특히 암호화폐 변동성 우려 등 여러 요인으로 투자를 꺼렸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더 많은 인식과 연구를 통해 투자자들이 다양한 수준의 위험과 효용성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