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화 전문 스타트업 슈퍼스테이트(Superstate)가 미국 암호화폐 금융사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과 협력해, 나스닥에 상장된 갤럭시 디지털의 주식을 솔라나(SOL) 블록체인에서 직접 토큰화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 방식은 기존의 간접적인 구조와 차별화돼 투자자들이 토큰을 단순 유사 상품이 아닌 ‘진짜 주식’으로서 보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슈퍼스테이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차별화 요소를 도입했다. 일반적으로 토큰화된 주식들은 실물 주식을 커스터디 기관에 예치하고 그에 대응한 토큰을 발행하는 구조이거나, 아예 파생상품이나 추종 상품에 불과한 경우가 많았다. 이런 방식은 실제 주주 권리를 명확히 보장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케이스는 다르다. 슈퍼스테이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식 등록된 주식 이전 대행기관(transfer agent)으로, 기존 주식과 동일한 권리를 가진 ‘온체인 주식’을 직접 발행하고 등록한다. 슈퍼스테이트의 레이첼 레비탄 케이던(Rachel Levitan Keidan)은 이메일을 통해 "이번 모델은 주식을 보관소에 맡기고 토큰을 받는 방식이 아니다"라며, "토큰 자체가 주식을 의미하며, 단지 다른 원장에 존재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토큰화된 주식이 법적으로도 정식 주식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덕분에 투자자들은 디지털 토큰을 통해 의결권, 배당 등 일반 주주의 권리를 온전히 행사할 수 있다.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이 거래 구조는 고속성과 저비용 특성을 살려, 기존 증권 인프라 대비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금융 환경을 제공한다.
증권형 토큰(STO)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주목을 받았지만, 법적 명확성과 실사용 사례 부족으로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슈퍼스테이트의 이번 시도는 블록체인 기반 증권 거래 방식에 대한 대표적 선진 사례로 평가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기관 투자자와 법적 요건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모델이 될 수 있다.
토큰화된 증권 시장은 자산 유동성과 글로벌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슈퍼스테이트와 갤럭시 디지털의 이번 협업은 기존 금융 인프라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시장의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도 엿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