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금융(DeFi) 시장 전반의 침체 속에서도 ‘투명성’과 ‘기능성’에 기반한 프로젝트는 여전히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 대표 사례로 떠오른 것이 XRP 튠드라(TUNDRA)의 프리세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마지막 단계인 9단계에 진입했으며, 프리세일 라운드가 점점 짧아지며 자금 유입이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튠드라는 XRP 레저(XRPL)와 솔라나(SOL)를 기반으로 한 ‘듀얼체인 구조’의 디파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높은 관심을 받는 프리세일로 자리매김했다. 시장 전반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각 단계마다 일정한 가격 상승이 발생하고, 새로운 구매자가 빠르게 들어오면서 속도감 있는 전개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프리세일은 9단계에 있으며, 스테이킹 보상 토큰인 ‘TUNDRA-S’에 투자하면 생태계 유틸리티 토큰 ‘TUNDRA-X’를 자동으로 배분받는 구조가 강점이다. 해당 모델은 사용자가 두 토큰의 기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별도의 추가 구매 없이도 생태계 참여가 가능하다. 현재 TUNDRA-S 토큰 가격은 0.147달러(약 197원)이며, 11% 보너스가 함께 제공된다. TUNDRA-X 기준가는 0.0735달러(약 98원)다.
코멘트: 대다수 프리세일이 ‘서사 중심’ 마케팅에 의존하는 데 비해, 튠드라는 구조적인 토큰 분배와 기능 중심 설계로 신뢰를 강화하고 있다.
튠드라는 이른바 ‘Cryo Vault’라는 온체인 스테이킹 인프라를 통해 XRPL과 솔라나의 트랜잭션 성능을 통합했다. 여기에 GlacierChain이라는 XRPL 레이어2 솔루션까지 결합되며, 자산 간 유동성 동기화가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튠드라는 단순한 콘셉트가 아닌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구조를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프로젝트의 투명성은 독립 보안 감사를 통해서도 입증됐다. 사이버스코프(Cyberscope), 솔리드프루프(Solidproof), 프레시코인(FreshCoins)의 감사를 통과했으며, 바이탈블록(Vital Block)을 통한 KYC 문서도 공개돼 있다. 이는 현재 시장에서 난립 중인 미확인 프리세일들과 비교해 튠드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커뮤니티 활성화도 급성장 중이다. ‘Arctic Spinner’라는 보상 캠페인을 통해 사용자 참여에 따라 3만 2,000달러(약 4,295만 원) 이상의 보상이 투명하게 분배됐으며, 전체 조달 금액은 이미 200만 달러(약 26억 8,680만 원)를 넘어섰다. 추천인, 스테이킹 참여, 직접 활동이 모두 온체인 상으로 기록되며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코멘트: 튠드라는 기존 DeFi 프로젝트가 흔히 범하는 단기 유동성 유치 전략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경제 시스템을 설계한 점에서 독립 분석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프리세일 후반부로 접어들며, 투자자들은 가격 상승 전 마지막 진입 기회를 노리고 있다. 단계 간 가격 격차가 좁아지고 있어, 남은 할당 물량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것이 튠드라의 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된다.
현재 프리세일 참여자들은 기술 기반 설계와 이중 토큰 구조, 투명한 보상 체계 등을 이유로 기존 알트코인의 유동성 부족 문제와는 다른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튠드라는 디파이 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디자인과 신뢰’라는 카드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