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 고래, 보유 롱 포지션 강제청산...총 560억원 손실
비트코인이 11만5000 달러를 하회하면서 탈중앙화 선물 거래소 하이퍼리퀴드(HYPE) 고래 아귈러트레이즈(Aguila Trades)의 BTC 롱 포지션이 강제청산됐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이에 따라 아귈러트레이즈는 총 4000만 달러(약 560억원) 손실을 확정짓게 됐다.
지난 1시간 동안 2조원 상당 BTC 복수 선물 거래소 입금
크립토퀀트 알람에 따르면, 지난 1시간 동안 1만6624.65 BTC(약 2조원)가 복수 선물 거래소로 입금됐다. 크라켄으로 1만6258 BTC, 바이낸스로 258 BTC, 비트파이넥스로 50 BTC가 입금됐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크립토퀀트는 "커스터디 지원 거래소의 경우 대량 입금은 커스터디 고객 입금일 확률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시간 2.74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2.7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6.1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다수 기관 ETH 매입 지속...20일 동안 $28.9억
다수 기관 추정 주소들의 이더리움(ETH) 매입이 이어지고 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한 익명 주소(0xdbf로 시작)는 8시간 전 팔콘엑스에서 4만4983 ETH(1억6600만 달러)를 평단가 3805 달러에 출금했고, 또 다른 주소(0xdf0로 시작)는 7시간 전 갤럭시디지털을 통해 2만3314 ETH(8827만 달러)를 매입했다. 특히 이 주소는 하루 동안 6만2966 ETH(2억3200만 달러)를 매입했다. 이들 주소들은 지난 7월 10일 이후 총 79만 ETH(28억9000만 달러)를 평단가 3510 달러에 매입했다.
ETH 현물 ETF 역대 최장 순유입... 20거래일 연속
트레이더T에 따르면 7월 31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 1709만 달러(239억원)가 순유입됐다. 20거래일 연속 순유입으로, 역대 최장 순유입 기록을 경신했다. 블랙록 ETHA에 1827만 달러, 피델리티 FETH에 562만 달러가 순유입됐으나, 그레이스케일 ETHE에서 68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나머지 ETF에서는 순유출입이 발생하지 않았다.
BTC 현물 ETF 6거래일 만 순유출 전환...1604억원
트레이더T에 따르면 7월 31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1억1469만 달러(1604억원)가 순유출됐다. 6거래일 만의 순유출 전환이다. 블랙록 IBIT에 1877만 달러, 프랭클린템플턴 EZBC에 678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BTC에 569만 달러, 인베스코 BTCO에 349만 달러, 반에크 HODL에 331만 달러가 순유입된 반면, 아크인베스크 ARKB에서 8992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서 5363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918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350억원 청산났던 고래, BTC·ETH 숏 포지션 또 오픈
탈중앙화 선물 거래소 하이퍼리퀴드(HYPE) 고래 @qwatio가 298만 USDC를 입금해 BTC, ETH 숏 포지션을 오픈하고 현재 190만 달러 미실현 수익을 거두고 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BTC 포지션 규모(레버리지 40배)는 1111 BTC에 진입가는 11만7297 달러, 청산가는 11만8333 달러다. ETH의 경우 레버리지 25배에 4141 ETH 규모, 진입가 3724 달러에 청산가 4385 달러다.
전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ETH 청산 규모: $1.9억, 청산 비율: 롱 87.84%
BTC 청산 규모: $1.5억, 청산 비율: 롱 94.98%
SOL 청산 규모: $3684만, 청산 비율: 롱 93.28%
오늘 $56억 상당 BTC 옵션 만기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8월 1일 17시 55.8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이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79, 맥스페인(max pain,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 가격은 11만7000 달러다.
ETH $3800 밑돌며 7월 50% 상승 마감
이더리움이 출시 10주년을 맞은 올 7월 50% 이상 상승해 거래를 마감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매체는 “이더리움은 7월 3,940달러까지 상승했으며 월말에는 3,800 달러를 다소 밑돌았다”고 전했다.
스트래티지, $42억 STRC 우선주 추가 발행 추진
스트래티지(MSTR)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에서 STRC 시리즈A 우선주를 통해 최대 42억 달러를 추가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D 증권, 바클레이스, 모건스탠리 등과 STRC 우선주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밀시티 벤처스, 7627만 SUI 매집
비은행 대출 및 특수금융업체 밀시티 벤처스가 사모 발행을 통해 4.5억 달러 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통해 76,271,187 SUI를 매집했다고 밝혔다. 수이 재단과 장외거래(OTC) 형태로 거래가 이뤄졌다.
코인베이스, 실물자산 토큰화·예측시장 출시 준비
코인베이스의 제품 담당 부사장 맥스 브란츠버그가 CNBC 인터뷰를 통해 “토큰화 된 실물자산(RWA), 예측시장, 초기 단계 토큰 판매 등의 서비스를 출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CEO “12년 전 비탈릭 영입 시도…비자 문제로 불발”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을 코인베이스에 채용하려 했지만, 비자 문제로 결국 캐나다로 돌아갔고, 그 사이 이더리움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제임스 윈, PEPE 롱포지션으로 또 $100만 손실
하이퍼리퀴드 트레이더 제임스 윈이 최근 페페(PEPE) 롱 포지션에 진입한 뒤 100만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현재 담보금은 1만4850 달러만 남은 상태다.
7월 $1.4억 암호화폐 해킹 피해
지난 7월 약 17건의 암호화폐 해킹이 발생했으며, 총 피해 규모가 1.4억 달러에 달한다고 펙실드가 전했다. 전월 대비 27.2% 증가한 수치다.
7개 운용사, SOL 현물 ETF 신청서 수정본 제출
그레이스케일 등 7개 운용사가 SOL 현물 ETF 신청서(S-1) 수정본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
라이엇플랫폼, 2Q 순익 $2.2억…직전 분기 손실 만회
비트코인 채굴업체 라이엇플랫폼이 올 2분기 순이익 2.2억 달러를 기록해 직전 분기 손실(-2.9억 달러)을 상당 부분 만회했다.
이더리움 재단, 1000 ETH 내부 추가 이체
이더리움 재단 추정 주소가 13시간 전 1000 ETH(384만 달러)를 내부 주소로 추가 이체했다. 동일한 움직임이 4일 연속 나타나고 있다.
양자 저항 위한 ‘린 이더리움’ 제안
이더리움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가 양자 저항을 위한 ‘린 이더리움’을 제안했다. 스마트 계약의 레이어1에 양자 안전 기능을 넣겠다는 구상이다.
코인베이스 올 2Q 매출 $15억 ‘시장 예상치 하회’
코인베이스가 올 2분기 매출이 15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스트래티지 올 2Q 순익 $100억
비트코인 최대 보유 기업인 스트래티지가 올 2분기 순익 100억 달러, 영업이익 14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익명 고래, $1243만 LINK 바이낸스 출금
익명 고래가 약 1시간 전 바이낸스에서 74만9990 LINK(1243만 달러)를 출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펌프닷펀, 서브도메인 등록
펌프닷펀이 서브도메인(fee.pump.fun)을 등록했다. 거래 수수료 추적 대시보드 또는 인센티브 프로그램 출시를 시사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35...전일比 1포인트↓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1포인트 하락한 35를 기록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5...탐욕 지속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7포인트 하락해 65를 기록했다. 탐욕 단계는 지속됐다.
외신 “CFTC 위원장 지명자, 칼시 경쟁사 정보 빼내려 시도한듯”
CFTC 위원장 지명자 브라이언 퀸텐즈가 예측시장 칼시의 경쟁사에 대한 정보를 이메일을 통해 빼내려 했다는 의혹이 보도됐다.
업비트, SEI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세이(SEI)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8월 4일 18시부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원·달러 환율 1400원 터치...5/19 이후 처음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00원을 터치했다. 이는 2024년 5월 19일 이후 처음이다.
BTC $116,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6,000 달러를 상회했다. 최신 가격은 116,019.29달러.
BTC $116,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6,000 달러를 하회했다. 최신 가격은 115,992.4달러.
BTC $115,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5,000 달러를 하회했다. 최신 가격은 114,950.35달러.
분석 “BTC 상승세 둔화…$11.2만까지 추락 가능성”
10x리서치는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둔화되며, 112,000 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