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X CEO "아즈텍 zk머니 이용자 계정 동결 안 했다"]
샘 뱅크먼 프리드 FTX CEO가 아즈텍(Aztec)의 zk머니로 코인을 보낸 이용자 계정을 FTX가 동결했다는 내용의 우블록체인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며 반박했다. 그는 "(우블록체인 보도 내용이) 왜곡됐다. FTX는 AML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거래 모니터링을 강화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정을 동결하진 않았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와 관련 아즈텍 네트워크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FTX가 사용자에 아즈텍/zk머니 이용 계정과 거래 금지를 요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 FTX에 연락을 취해 입장을 이해했으며, 우리는 아즈텍 네트워크를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해 줄 수 없다.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도난 자금을 세탁하려는 이용자를 식별하고 아즈텍 시스템 외부에서 그들의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카르다노 창시자 "바실 하드포크, 퀄리티상 문제 없다"]
유투데이에 따르면 카르다노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최근 인터뷰를 통해 메인넷 바실(Vasil) 업그레이드에는 퀄리티상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최근 카르다노 개발자들은 바실 하드포크를 위한 최종 노드 버전 노드 1.35.3을 확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찰스 호스킨슨은 "버전 1.35.3에 확신을 가지고 있다. 카르다노에는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앞서 그는 (이전 버전인) 노드 1.35.0을 테스트 하는 동안 3개의 버그를 발견했으며, 1.35.3이 하드포크의 유력한 후보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캐나다 채굴 업체 Hut8, 2억 달러 규모 주식분배 프로그램 실시]
PR뉴스와이어(prnewswire)에 따르면 캐나다 소재 암호화폐 채굴업체 Hut8 마이닝(Hut 8 Mining)이 미국 금융계 시장조사기관 캐너코드 제뉴이티(Canaccord Genuity) 및 투자은행 스티펠(Stifel, 대리인)과 지분 분배 프로그램(at-the-market equity program, ATM)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 ATM 계약 기간 동안 Hut8는 대리인을 통해 기업의 보통주를 판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대 2억 달러까지 수익을 낼 수 있다. ATM 프로그램에 따른 수익금은 기업 운영 등에 사용할 방침이다. 또한 미상환 채무 상환, 잠재적 인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비트멕스 창업자 "ETH 머지 실패 시 BTC 대 ETH 환율 0.075 하회 전망]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가 최근 이더리움(ETH) 가격 하락과 관련, 트위터를 통해 "ETH 머지(PoS 전환)가 실행되지 않거나 성공에 위협될 만한 일이 발생할 경우 난 내 롱 포지션에 대해 걱정할 것이다. 만약 머지 실행 가능성이 감소한다면 BTC 대 ETH 환율(ETH/BTC)는 0.075를 크게 밑돌 것으로 예상한다. ETH/BTC는 지난 6월 중순 이미 0.05 저점을 이탈한 바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 (ETH)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 소비자금융보호국, 캐시앱 민원 실태 조사]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블록 CEO 잭 도시(Jack Dorsey)가 P2P 결제 서비스 캐시앱(Cash App)과 관련해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FPB는 블록이 2020년 8월 및 2021년 8월에 요청한 데이터를 미제출했다며, 캐시앱의 민원 및 분쟁 처리 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CFPB는 연방 법원에 청원서를 제출, 캐시앱 관련 조사를 강제할 수 있도록 승인할 것을 요청했다.
[테더, 2Q 어음 58% 줄고, 은행 예금 32% 늘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가 회계감사 업체 BDO이탈리아가 작성한 분기별 감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테더는 6월 30일 기준 664억달러 준비금과 662억달러 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보유 중인 기업어음(CP)은 85억달러로 전분기(200억달러) 대비 58% 감소했다. 반면 현금 및 은행 예금 보유량은 32% 늘었다. 앞서 테더는 회계감사 업체를 기존 MHA케이맨(MHA Cayman)에서 BDO이탈리아(BDO Italia)로 교체하며, 기존 분기별 1회 공개하던 준비금 관련 보유자산 정기증명보고서를 월 1회로 발간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ADA 창업자, 하드포크 지연 논란에 "비난 받는 데 지쳤다"]
찰스 호스킨슨 카르다노(ADA) 창업자가 바실 하드포크 연기에 대해 "비난을 받는 데 지쳤다"고 밝혔다. 그는 "당신들이 SPO(스테이크 풀 운영자)다. 결국 당신들에 의해 결정된다. 나는 양쪽 모두로부터 비난을 받는 데 심각하게 지쳤다. 카르다노는 탈중앙화되어 있다. 궁극적으로 내가 아닌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업그레이드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그는 바실 하드포크에 앞서 공개된 테스트넷 노드 V1.35.2 오류 문제에 대해 "문제의 코드는 SPO를 포함해 모든 사람들에 의해 철저하게 테스트 되었다"며 업그레이드를 서두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상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호스킨슨은 바실 하드포크 지연에 대해 "최종 단계이며 더 이상의 지연은 예상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CNBC 유명 진행자, SEC에 암호화폐 펌프앤덤프 단속 촉구]
유투데이에 따르면 CNBC 매드머니 진행자 짐 크레이머(Jim Cramer)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암호화폐 펌프앤덤프(헐값으로 산 뒤 인위적으로 가격을 부풀린 다음 내다파는 행위)를 단속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매드머니쇼에서 "SEC의 중대한 현안은 암호화폐 업계의 펌프앤덤프를 단속하는 것"이라며 "SEC가 보다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SEC보다 덜 공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암호화폐 관할권을 갖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미 하원과 상원 농업위원회가 SEC보다 CFTC에 더 많은 암호화폐 시장 관할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한 바 있
[화이트페이, 우크라이나 주요 가전매장 암호화폐 결제 지원]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화이트비트가 오프라인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하는 화이트페이를 출시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인들은 현지 주요 전자제품 판매 체인 Tehnoezh, Stylus 등 매장에서 포스기를 통해 130여종 암호화폐 결제가 가능해진다.
[유동성 위기 호들넛, 테라 사태로 1.9억 달러 손실]
테라 리서치 포럼 네임드 유저 팻맨(FatMan)에 따르면, 현재 유동성 위기로 출금 중단 사태를 겪고 있는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호들넛(Hodlnaut)이 최근 당국에 보고서를 제출, 테라 사태로 인해 1.9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