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NFT 주간 거래수, 5주 연속 증가세]
크립토 포테이토가 난센 데이터 저널리스트 마틴 리가 제공한 데이터를 인용, 이더리움 기반 NFT 주간 거래수가 5주 연속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2022년 11월 4일부터 이러한 증가세가 시작됐으며 거래수는 매주 70만건 이상에 달했다. 오픈씨에서 거래수가 가장 많았고 이어 Mints, 룩스레어, X2Y2 순이었다. 이더리움 NFT 사용자 수도 3주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토큰언락 "올해 최소 1,020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 언락 전망"]
암호화폐 락업 해제 일정 추적 플랫폼 토큰언락(Token Unlocks)이 연례 보고서를 통해 "2023년 최소 1,020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언락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중 리플은 약 180억 달러 상당의 XRP 언락이 예정되어 있어 시총 상위 300개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의 연간 언락이 전망된다. 해당 보고서는 2022년 연말 기준 시가총액 상위 300개 암호화폐 프로젝트 중 총 공급량이 고정된 암호화폐의 82.1%가 이미 시장에 유통 중인 것으로 집계했다. 이번 집계에서 공급량이 고정되지 않은 무제한 발행 토큰은 제외됐다.
[바이낸스 "지난해 14개 라이선스 획득...컴플라이언스 팀 규모 500% 성장"]
바이낸스가 2022년 연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주요 통계 및 사업 진전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1. 지난해 14개 국가 및 지역에서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등록을 마쳤다. 보안, 컴플라이언스 팀 규모를 2021년 연말 대비 500% 확장했으며, 업계 우수 인재들을 영입했다.
2. 암호화폐 산업에 닥친 주요 기업 연쇄 파산의 여파 속에서 회복력을 증명했으며, 블록체인 생태계 신뢰를 재건하는데 집중했다.
3. 암호화폐 공간에서 사용자들에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낸스 인큐베이터는 2022년 5억 달러 이상을 웹3 및 블록체인 혁신 기업 및 프로젝트에 투자했으며, 현재 5차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크리스탈, 옵티미즘 블록체인 지원]
멀티체인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플랫폼 크리스탈(Krystal)이 옵티미즘(OP)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유동성 애그리게이터 주피터(JUP)를 통해 옵티미즘 네트워크에서 포트폴리오 관리, 자산 이체, 토큰 스왑, 자산 브릿징, 수익 관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리플 CEO "FTX에 1,000만 달러 상당 XRP 빌려줬지만 큰 지장 없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XRP)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에 약 1,000만 달러 상당의 XRP를 빌려줬었다. 하지만 이는 리플 유동자산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 법원에서 진행되는 파산 절차를 통해 이 돈의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수 있길 바란다. 물론, 지금 해당 자금이 없어도 사업에 큰 지장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디어는 "리플이 FTX에 XRP를 통해 대출을 제공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채무관계에서 대출금은 일정 기간 이후 대출자에게 반환되지만, 이를 회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어떤 가드레일이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 웹3, 오늘 월간 밋업 진행...서틱 아시아 지역 총괄 등 참여]
글로벌 웹3 생태계 오픈 커뮤니티 서울 웹3(SeoulWeb3)가 공식 채널을 통해 한국시간 기준 19일 17시~19시 월간 정기 밋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EG빌딩 지하 1층에서 열리는 이번 밋업에는 그레이스 딩(Grace Ding) 서틱 아시아 지역 총괄, 체인링크 한국·아시아태평양 고투마켓 책임자 션(Sean Chung), 브링크파이 공동 창업자 루크 심(Luke Shim) 등이 연사로 참여한다.
[알라메다 추정 주소, FTX 청산인 멀티시그 주소로 $930만 상당 FTT 이체]
웹3 지식 그래프 프로토콜 겸 블록체인 분석 업체 0x스코프(0xScop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알라메다 리서치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에서 한국시간 19일 8시 05분 경 FTX 청산인이 통제하고 있는 멀티시그 주소로 930만 달러 상당의 FTT 토큰이 이체됐다"고 분석했다. 현재 청산인 주소에는 약 1.7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예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FTT는 현재 11.04% 내린 1.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MEV 봇 플래시론 공격으로 $10.8만 피해]
서틱에 따르면 MEV 봇 플래시론 공격이 발생해 공격자는 $10.8만 이익을 봤다.
[알라메다, 스시스왑서 500만 FTT 언스테이킹]
프랙시스 리서치(Praxis Research)에 따르면 알라메다 리서치가 몇 시간 전 스시스왑:벤또박스V1에서 500만 FTT($900만)를 언스테이킹했다.
[더그래프, 아비트럼·옵티미즘·아발란체·셀로 네트워크 지원]
블록체인 인덱싱 프로토콜 더그래프(GR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아비트럼, 옵티미즘(OP), 아발란체(AVAX), 셀로(CELO) 네트워크에 대한 지원을 추가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당 체인 개발자들은 더그래프의 인덱스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GRT는 현재 6.47% 내린 0.0761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비츠라토 제재 대상 암호화폐, 256만 달러 규모"]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슬로우미스트 산하 암호화폐 추적 플랫폼 미스트트랙이 온체인 분석을 통해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 비츠라토(Bitzlato)가 미국 법무부에 의해 제재를 받은 암호화폐는 약 256만 달러 규모"라고 밝혔다. 제재 대상 비츠라토 자산은 각각 64.8 BTC, 274 ETH, 3,200 LTC, 530 BCH, 185,117 개 스테이블코인(USDT+USDC+DAI), 1,202,000 DOGE 등이다. 지난밤 코인니스는 미국 법무부가 공식 성명을 통해 홍콩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비츠라토와 비츠라토 설립자 아나톨리 레그코도모프를 돈세탁 혐의로 기소했다고 전한 바 있다.
[도시, 'LN 토큰으로 NFT 결제' 베타 버전 출시]
라인의 글로벌 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 넥스트의 NFT 플랫폼 도시(DOSI) 팀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라인링크(LN)를 통한 NFT 결제 기능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LN 토큰으로 NFT를 거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도시에서 LN을 통해 NFT를 결제하면 ▲ 이더리움 가스비 98% 이상 절감 ▲DON 보상 30% 추가 지급 ▲이더리움 대비 400배 빠른 거래 속도 등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베타 서비스로 출시된 만큼 LN 결제는 미화 62만 달러라는 결제 상한이 존재하며, 일정 기간 내 결제 상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라인 블록체인의 재단화까지 결제 서비스가 일시 중단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LN은 현재 5.21% 내린 42.7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FTX CEO "설리반앤크롬웰 변호인 자격 유지해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FTX 챕터11 파산 재판에서 FTX 측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미국 로펌 설리반앤크롬웰(Sullivan & Cromwell)의 대리인 자격 유지 여부를 놓고 존 레이 3세(John J. Ray III) FTX CEO가 "설리반앤크롭웰은 '화재'를 진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의 법률 대리인 자격은 유지돼야 한다"며 법원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해당 진정에서 그는 "FTX의 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이 채권들에게 최선의 이익이 될 수 있다. 법률 고문은 악당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FTX 파산 담당 미국 파산관재인 앤드류 바라(Andrew R. Vara)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이해 상충 및 자료 공개 불충분 등을 이유로 설리반앤크롬웰의 변호인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그는 "해당 로펌은 FTX가 파산 신청을 하기 14개월 전부터 변호인으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FTX와의 연관성 등을 충분히 소명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