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예상대로 금리 동결했지만 연말 '5.6%' 전망…"두 번 더 인상" 시사]
미국 통화 당국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하지만 연말 최종 금리 전망을 크게 높여 인상 주기가 종료되지 않았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회는 6월 13일과 14일(현지시간) 진행된 정례회의 이후 성명서를 통해 "장기적으로 완전 고용과 물가상승률 2%를 달성하기 위해 위원회는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5.00~5.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전과 비슷한 내용의 성명서를 통해 금리를 유지하고 상황을 지켜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신 "애플, BTC 월렛 제우스 최신버전 앱스토어 등재 거절"].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애플이 비수탁형 라이트닝 지원 비트코인 월렛 제우스(Zeus) 최신 버전의 앱스토어 등재를 거절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애플은 제우스 측에 암호화폐 이체 관련 라이선스 및 승인 권한 증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우스 이전 버전은 애플 앱스토어에 여전히 등재돼 있다. 앞서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가 주도하는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 노스트(Nostr)의 iOS 버전 클라이언트인 다무스(Damus)는 "애플 측이 다무스 플랫폼 내 게시물에 비트코인을 후원할 수 있는 '잽 기능'(zaps feature)을 허용할 수 없다고 알려왔다"며 "앱스토어에서 삭제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다무스는 "앱스토어 등재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1시간 1.12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1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1.4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잭 도시, BTC 연구개발 기업 브링크에 500만 달러 기부]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 및 그의 자선사업 스타트 스몰(Start Small)이 비영리 비트코인 연구 개발 기업 브링크(Brink)에 500만 달러를 기부한다고 발표했다. 브링크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잭 도시와 스타트 스몰이 개발자 자금 지원을 위해 향후 5년 동안 매년 100만 달러씩 기부하기로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브링크는 BTC 관련 교육 및 연구를 담당하는 비영리 단체다.
[데이터 "바이낸스US 미국 시장 점유율 2.7%... 2년래 최저"]
카이코 데이터에 따르면 바이낸스US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2020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인 2.7%로 하락했다. 또한 바이낸스US의 거래량은 지난 3개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낸스US 거래량은 3월 1760만 달러, 4월 152억 달러, 5월 59억 달러를 기록했다.
[ETH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아이건레이어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 리스테이킹(Re-staking) 프로토콜 아이건레이어(EigenLayer)의 이더리움 메인넷이 출시됐다. 이용자는 stETH, rETH, cbETH 등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을 입금해 아이건레이어에 재스테이킹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리퀴드 리스테이크와 네이티브 리스테이크에 대한 한도를 설정했다. 리퀴드 리스테이크는 각 토큰 최대 3200개와 주소당 최대 32개의 토큰 입금을 허용하며, 네이티브 리스테이킹은 9600 ETH 초과시 일시 중단된다.
[BNB체인 거래량, 4-5월 기간 65% 증가]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BNB체인 거래량이 지난 4-5월 기간 65% 증가했다. BNB체인 거래량은 지난 4월 117.9억 달러를, 5월에는 195.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65.3%(77.3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더블록 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 케빈 펑(Kevin Peng)은 유동성 공급자에게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 팬케이크스왑의 V3 업그레이드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암호화폐 프라임 브로커리지 FPG, 보안사고 발생... 입출금 중단]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프라임 브로커리지 기업 플로팅 포인트 그룹(Floating Point Group, FPG)이 보안 사고로 인해 입출금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발생했으며, 현재 FPG는 포렌식 전문가 및 법 집행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 규모는 1500-2000만 달러 상당으로 추정된다. FPG 측은 "사건 발생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자산을 회수하기 위해 FBI, 국토안보부, 규제 당국, 체이널리시스 등과 협력하고 있다. 현재 조사 중인 사건인 만큼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가 어렵다"고 전했다.
[시큐리타이즈 CEO "암호화폐 기업, 미국 규제기관 등록 방법 모르지 않는다"]
더블록에 따르면 증권형 토큰 플랫폼 시큐리타이즈(Securitize) CEO 카를로스 도밍고(Carlos Domingo)가 암호화폐 기업은 미국 규제기관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 기업이 정말 모른다고 생각하는가. 일단 우리는 등록 방법을 알고 있다. 아주 일반적인 절차다. 우리는 토큰화 프로세스를 위한 일련의 라이선스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폐 기업을 위해 다른 업계 기업에게 적용되는 것과 완전히 다른 프로세스를 만들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의회가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킬 수도 있지만, 나는 향후 2-3년 안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측한다"며 "미국 규제로 인해 다수의 암호화폐가 해외로 이전하고 있다고 우려하지만, 나는 그렇게 많은 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유럽이 새로운 법안을 내놓았지만, 아직 완벽하지 않다. 미국이 전세계가 가장 신뢰하는
[미 연준 점도표, 연말 금리전망 5.6%...3월 比 50bp 상승]
6월 FOMC 회의에서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상의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는 5.6%로, 지난 3월 회의 예상치 대비 0.5%p 상승했다. 12명의 FOMC 위원이 올 연말 기준금리가 5.5%~5.75%에 이를 것이라 내다봤다. 4명의 위원이 올해 적어도 한 차례 금리 인상이 뒤따를 것이라고 예상했고, 금리 동결을 전망한 위원은 2 명에 그쳤다.
[美 다우지수 장중 1%대 하락]
미국 증시 다우지수의 장중 하락폭이 1.17%까지 확대됐다. 현재 S&P 500지수는 0.63%, 나스닥 지수는 0.70%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공식 성명을 통해 FOMC 위원들의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밝혔다.
[메이커다오, DAI 준비금서 $3.9억 GUSD 제외 유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탈중앙화 금융(DeFi) 대출 플랫폼이자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DAI 발행사 메이커다오(MKR)가 곧 3.9억 달러 상당의 GUSD를 DAI 준비금에서 제외시킬 것"이라고 15일 보도했다. 메이커다오는 DAI 준비금으로 GUSD 공급량 중 약 88%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거버넌스 결정이 제미니(GUSD 발행사) 및 GUSD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메이커다오 커뮤니티는 페그 안정성 모듈(PSM)로 불리는 스테이블코인 보유량 중 GUSD 보유량을 최대 5억 달러에서 1.1억 달러로 줄이는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 중이다. 24시간 이내로 마감되는 해당 제안은 이미 94%가 찬성표를 던져 통과가 유력하다. 다만 지난 1월 진행된 유사한 제안 투표에서는 GUSD 보유량 유지에 찬성표가 뒤늦게 몰려 약 50.85%의 찬성율로 제안이 부결된 바 있다"고 부연했다.
[포브스 "첸광잉, 바이낸스 자금줄 쥐고 있는 비공식 임원"]
미국 유력 매체 포브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바이낸스를 제소하며 소장에서 수차례 언급한 '첸광잉'(헤이나 첸)은 바이낸스의 자금줄을 쥐고 있는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의 최측근이자 비공식 임원"이라고 15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포브스는 "2019년 바이낸스가 미국 법인을 세울 때 법인 계좌의 서명자는 첸광잉이었다. 또 자오창펑이 스위스에 비밀 회사를 설립해 바이낸스US의 암호화폐 거래량을 인위적으로 부풀렸다는 의혹이 제기됐을 때도 은행 계좌와 온보딩 문서에는 첸광잉의 이름이 있었다. SEC가 소장에서 언급한 '백 오피스 매니저' 역시 첸광잉이다. 바이낸스에서 공식 직함도 없고 공개적으로 드러난 활동도 없지만, 바이낸스 내부 문서에서 그는 '재무 이사' 직책을 달고 있다. 그는 CEO를 제외한 다른 어떤 임원보다 많은 바이낸스 관련 은행 계좌를 관리하고 있으며, 다수의 바이낸스 관련 법인에서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첸광잉, 자오창펑과 함께 일했던 익명의 전 바이낸스 임원은 포브스에 "첸광잉은 자오창펑이 신뢰하는 사람으로, 재무부의 실질적 '게이트웨이'였다. 그는 사실상 최고재무책임자(CFO)였으며, 재무 관련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었다. 자오창펑이 있는 곳엔 그가 있었다"고 제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그래프, 이더리움→아비트럼 마이그레이션 시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록체인 인덱싱 프로토콜 더그래프(GRT)가 이더리움에서 아비트럼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시작했다. 이번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더그래프는 레이어2 롤업 프로토콜로 전환된다. 더그래프 초기 개발팀 엣지앤노드(Edge & Node)는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기존 보안 강도를 유지하면서 가스 수수료 비용은 절감하고 트랜잭션 속도를 높여 참여자들의 진입장벽을 낮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GRT는 현재 1.40% 오른 0.0996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건틀렛 "커브 창업자 관련 지갑 CRV 물량 동결해야"]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리스크 관리 프로젝트 건틀렛(Gauntlet)이 최근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 커뮤니티에 "커브파이낸스(CRV) 창업자 마이클 이고로프(Michael Egorov)와 관련이 있는 지갑이 보유한 CRV 토큰을 동결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해당 주소는 아베 프로토콜을 통해 약 6,300만 달러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을 대출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건틀렛 측은 "해당 지갑은 2.88억 CRV(약 1.8억 달러 규모)를 담보로 6,300만 달러 상당의 USDT를 대출받았다. 또 최근 CRV 가격 하락에 다른 담보 청산을 방지하고자 2,400만 달러 규모의 CRV를 추가 예치하기도 했다. 2.88억 CRV는 CRV 토큰 전체 유통량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부실채권 방지 차원에서라도 해당 지갑의 CRV를 동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스토니아 경찰, 아토믹월렛 해킹 사건 수사 착수]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경찰 당국이 암호화폐 월렛 아토믹월렛(Atomic Wallet) 해킹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에스토니아 경찰 측 대변인은 "당국은 지난주부터 해킹 사건을 조사하고 있지만, 세부 사항은 밝힐 수 없다. 아직 아토믹월렛의 공격이 어디서부터 시작됐는지 언급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블록체인 분석업체 일립틱은 "아토믹월렛은 이번 해킹으로 인해 최대 1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을 것"이라며 배후 조직으로 북한의 해커 집단 라자루스를 지목했다.
[외신 "바이낸스US-SEC, 15일 자산 동결 관련 중재 회의 진행"]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가 "바이낸스의 미국 관계사 바이낸스US가 한국시간 기준 15일 4시 45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자산 동결 긴급명령' 관련 중재 회의를 진행한다. 해당 회의는 미국 담당 판사인 에이미 잭슨의 명령에 따라 소집되며, 검사 출신 치안판사 지아 파루키(Zia M. Faruqui)가 감독관으로 참여한다. 앞서 코인니스는 전날 에이미 잭슨 판사가 SEC가 요청한 바이낸스US 자산 동결 긴급명령 관련 판결을 유예하며, 양측의 타협점을 모색하기 위해 치안판사에게 중재를 명령했다고 전한 바 있다.
[암호화폐 결제 업체 BCB 그룹, 수터뱅크 인수 철회]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소재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업체 BCB 그룹의 독일 은행 수터뱅크(Sutor Bank) 인수 작업이 무산됐다. 성명에 따르면 두 기업은 신중한 논의 끝에 주식 매각 계약을 철회했다. BCB 그룹은 지난 2021년 12월 수터뱅크 인수 계획을 처음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거래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BCB 그룹은 "최근 은행 관련 사건들과 거시경제 변화로 인해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됐다"며 "프랑스에 이머니(e-money) 라이선스를 신청하는 방법으로 유럽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펙실드 "해시플로우, 컨트랙트 관련 이슈 발생...약 $40만 손실 추정"]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펙실드가 15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플로우(HFT) 컨트랙트의 트랜잭션 승인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버그로 해시플로우에 약 40만 달러 상당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레이어제로, 스크롤 테스트넷에 출시]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개발사 레이어제로랩스는 레이어제로가 이더리움(ETH) zkEVM 확장성 프로젝트 스크롤 테스트넷에 출시됐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