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고팍스 임원 변경 또 불발…조영중 대표, 금융당국 '2년 묵살' 정면 비판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1
2

조영중 고팍스 대표가 국회 세미나에서 금융당국의 2년간 임원 변경 신고 미수리를 강하게 비판했다. 1,500억 원 규모 고파이 피해 해결에도 바이낸스 지분 승계가 막혀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조영중 고팍스 대표는 8일 국회에서 열린 피해자 구제 방안 세미나에서, 금융당국이 2년째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고팍스는 지난 2023년 3월, 8월, 10월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신고를 제출했지만, 여전히 당국은 아무런 수리 조치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조 대표는 "법적으로 결격 사유가 없는 바이낸스가 고팍스의 최대 주주가 된 상황인데도, 아무 설명 없이 당국이 수리를 미루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제는 '고파이' 피해자들 때문이다. 고파이는 고객들이 암호화폐 예치 시 일정 이자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하지만 이 서비스를 운영하던 중, 제휴사였던 제네시스 트레이딩이 FTX 파산 여파로 대출과 환매를 중단했고, 그 여파로 2022년부터 고파이에서도 출금이 중단됐다. 조 대표는 "지급 청구를 받았다면 이미 고팍스는 파산했을 것"이라며 "양해해 주신 피해자분들께 감사하고,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현재 1천500억원대에 달하는 고파이 부채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는 암호화폐 시장 회복세에 있다. 특히,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고파이 사태가 터졌던 2022년 11월 당시 2천만원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1억4천만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바이낸스 스티브 영 김 이사는 "시간이 흐르며 피해액이 커져버렸지만, 바이낸스 창업자와 경영진은 지금도 피해자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한 피해자는 "전세 사기를 당한 뒤 돈을 불리려 고파이를 이용했는데 이런 참담한 결과가 기다리고 있을 줄은 몰랐다"며 씁쓸함을 드러냈다.

금융당국은 고팍스를 포함해 여러 가상자산 사업자들의 신고가 접수돼 있으며, 법적 요건을 확인한 후 순차적으로 심사를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toko21

12:25

등급 아이콘

디스나

10:4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5.09 10:46:2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