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축적되고 있다. ① 인플레이션 헤지와 미래 가치 저장 수단으로 보고 직접 매입하는 상장기업, 사기업, 정부, ② 투자자 자산을 대신 보관하며 시장 수요에 응답하는 ETF·펀드, 거래소·커스터디, DeFi 스마트컨트랙트 등이 대표적이다. 기관과 정부의 BTC 보유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유통 물량이 줄어들고, 시장 가격에 중장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정부 보유 확대는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글로벌 기관, 정부, 커스터디별 비트코인 보유 현황을 한눈에 살펴본다. [편집자주]
2025년 5월 13일 오후 3시 기준 비트코인트레저리에 따르면 기관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330만 BTC로 집계됐다. 지난 30일 동안 보유량은 4.06% 증가했다.
비트코인 보유 기관은 총 193곳이다. 전월 대비 10곳, 전주 대비 2곳 더 늘었다.
현재 상장 기업(101), 사기업(26), 정부(12), ETF·펀드(40), 거래소·커스터디(4), 디파이·스마트 컨트랙트(10) 등 다양한 기관이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상장 기업, 사기업,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총 157만9591BTC(약 1406억8000만 달러)로, 비트코인 공급량의 7.52%를 차지하고 있다.
상장 기업 76만5862BTC|785억 달러|3.65%
상장사 중 스트래티지(전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 공급량의 2.645%에 해당하는 55만5450BTC를 보유하며 단일 최대 보유 기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상장 기업 보유 TOP 5
스트래티지 (55만5450BTC) (미국)
마라 홀딩스 (4만8237BTC) (미국)
XXI(트웬티원캐피털, CEP) (3만1500BTC) (미국)
라이엇 플랫폼 (1만9211BTC) (미국)
갤럭시 디지털 (1만3704BTC) (캐나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위메이드 (223BTC), 비트맥스 (125BTC), 네오위즈 (123BTC)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사기업 28만5993BTC|293억5000 달러|1.36%
사기업 부문에서는 블록원이 16만4000BTC, 테더 홀딩스가 10만0521BTC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사기업 보유 TOP 5
블록원 (16만4000BTC) (미국)
테더 홀딩스 (10만0521BTC) (영국령버진아일랜드)
스톤 리지 (1만 BTC) (미국)
스페이스X (8285BTC) (미국)
테조스 재단 (2903BTC) (스위스)
정부 52만7736BTC|541억7000만 달러|2.51%
정부 보유량 순위에서는 미국이 19만8012BTC를 보유하며 1위를 유지했고, 중국이 19만 BTC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영국, 우크라이나, 북한이 뒤를 이었다.
정부 보유 TOP 5
미국 (19만8012BTC)
중국 (19만 BTC)
영국 (6만1245BTC)
우크라이나 (4만6351BTC)
북한 (1만3562BTC)
◈ 상장사·사기업·정부 종합 순위 20위
직접 보유가 아닌 고객을 대신해 보유하는 주요 커스터디 솔루션들의 보유량은 171만5889BTC로 전체 발행량의 8.17%에 해당한다. 총 평가액은 약 1761억4000만 달러 규모다.
ETF·펀드 133만8929BTC|1373억7000만 달러|6.38%
ETF 시장이 전체의 6% 이상을 차지하며 기관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 현물 ETF가 10위권에 대거 포진해있다. 지난주 블랙록 IBIT는 보유량 확대, 그레이스케일 GBTC는 보유량 축소를 보였다.
ETF·펀드 보유 TOP 5
블랙록 IBIT (62만252BTC)
피델리티 FBTC (20만819BTC)
그레이스케일 GBTC (18만9273BTC)
아크·21셰어스 ARKB (5만2724BTC)
그레이스케일 미니 BTC (4만2079BTC)
거래소·커스터디 15만5852BTC|159억8000만 달러|0.74%
고객 자산을 대신 보관하는 거래소·수탁기관의 보유량은 15만BTC 상당으로 유지되고 있다. 주로 과거 도산·청산 절차에 있거나, 글로벌 거래소가 포함돼 있다.
거래소·커스터디 보유 TOP 5
비트멕스 (5만2020BTC) (세이셸)
마운트곡스 (4만4899BTC) (일본)
자포 (3만8931BTC) (지브롤터)
리버 파이낸셜 (2만2BTC) (미국)
디파이·스마트컨트랙트 22만1108BTC|226억6000만 달러|1.05%
디파이·스마트컨트랙트의 비트코인 보관량은 20만 BTC를 상회하고 있다. 해당 부문에서는 랩트비트코인(wBTC)이 가장 많은 12만8820BTC를 보관하고 있다. 스레시홀드 비트코인(4517 BTC), 솔브 프로토콜 비트코인(1만748BTC)가 새롭게 명단에 합류했다.
디파이·스마트컨트랙트 보유 TOP 5
랩트비트코인(wBTC) (12만8820BTC)
카사시우스 코인 (3만8216BTC)
cbBTC (2만1795BTC)
솔브 프로토콜 비트코인(1만748BTC)
아발란체 브릿지드 비트코인 (5089BTC)
◈ 주요 커스터디 솔루션 종합 순위 10위
시장에서는 기관과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가 꾸준히 늘면서 유통 가능 물량 감소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가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정부 보유량이 증가하는 점은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 가능성을 시사하며, 기관 수요는 ETF,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