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암호화폐 해킹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과 유럽연합(EU)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2025년 5월 20일 서울에서 열린 제7차 사이버정책협의회에서 양측은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를 포함한 다양한 사이버 범죄에 긴밀히 협력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회의에서는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국장과 마치에이 스타데예크 EU 대외관계청 안보방위정책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양측은 특히 국경을 넘나드는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려면 빠른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며, 국제 수사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북한은 최근 몇 년간 전세계 가상 자산 해킹 사건에서 자주 등장해왔다. 탈취한 암호화폐는 대량살상무기 개발 자금으로 전용되고 있다는 우려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과 EU는 단순한 정보 교환을 넘어, 기술적 대응과 사이버 역량 강화 지원까지 포괄하는 실질적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코로나19 이후 5년 만에 대면으로 열렸으며, 한국 외교부를 비롯해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 대검찰청,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EU 대외관계청(EEAS), EU 집행위원회(EC) 등 양측의 주요 사이버 안보 기관들이 대거 참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의 해킹은 단순한 사이버 범죄를 넘어 안보 이슈로까지 확대되는 만큼,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 관련 보안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양측은 향후에도 정기적인 정책 대화를 이어가며, 사이버 범죄에 맞서기 위한 공동 대응 체계를 점차 세분화하고 고도화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