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가 국제통화기금(IMF)과의 14억 달러(약 1조 9,180억 원) 규모 대출 프로그램 1차 검토를 마치고, 이에 따라 곧 1억 2,000만 달러(약 1,644억 원)를 추가로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지원에는 정부의 비트코인(BTC) 관련 개입을 제한하라는 강력한 조건이 포함돼 관심을 끌고 있다.
IMF는 지난 5월 27일 공식 발표를 통해 엘살바도르와의 협상이 타결됐으며, 내달 말까지 정부가 운영 중인 ‘치보(Chivo)’ 비트코인 지갑 서비스에서 완전히 철수할 것을 주문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가 보유한 전체 비트코인 수량은 그대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엘살바도르가 지난해 12월 체결한 40개월짜리 자금 지원 계약에서 이미 약속한 조건을 재확인한 셈이다.
앞서 IMF는 지난 3월에도 엘살바도르가 공공 부문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거나 관련 활동을 확장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나입 부켈레(Nayib Bukele) 대통령의 정부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는 "정부는 매일 1 BTC씩 비트코인을 계속해서 매입할 것"이라며 기존의 ‘비트코인 금고 전략’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IMF의 보조금 지급 결정이 발표된 직후,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전담 부서는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또 한 차례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매입 사실을 공개했다. 이는 IMF와의 조건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보로, 향후 지원금 집행 과정에서 또 다른 논란을 불러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록 IMF의 승인 절차가 남아 있지만, 양측의 견해차는 향후 협력관계에도 긴장을 예고하고 있다.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 실험’을 계속 이어갈지, 아니면 국제사회의 요구에 일정 부분 타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