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암호화폐 범죄, '초과열 주기' 진입…2025년 피해 규모 역대 최대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범죄로 인한 글로벌 피해 규모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규제 공백과 투자 과열이 범죄 확산의 주요 원인이라고 경고했다.

 암호화폐 범죄, '초과열 주기' 진입…2025년 피해 규모 역대 최대 / TokenPost.ai

암호화폐 범죄, '초과열 주기' 진입…2025년 피해 규모 역대 최대 / TokenPost.ai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은 최근 암호화폐 범죄가 초과열 주기(supercycle)로 접어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규제 지연, ‘놓치면 안 된다(FOMO)’는 심리, 그리고 실사용 증가가 맞물리면서 암호화폐 범죄가 이전보다 더욱 정교하고 대담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5년 상반기 동안 암호화폐 범죄로 인한 글로벌 손실 규모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의 기존 최고치를 넘어선 수준이며, 2024년 연간 전체 피해 규모에 거의 육박한다. 범죄자들은 탈중앙화 지갑의 시드 구문 탈취, 웹 인터페이스 해킹 및 폰지 사기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피해자 자산을 노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각국 규제 당국의 늦장 대응이 범죄 확대의 배경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명확한 정책과 법적 기준 없이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며 악의적인 행위자들이 제도적 공백을 악용하기 쉬운 환경이 됐다는 것이다. 여기에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수익에 눈이 먼 투자자들이 보안 위험을 간과하는 경우도 반복되고 있다.

한 보안 전문가는 “최근의 시장 분위기는 단순한 범죄 급증이 아닌 구조적인 사이버 위협의 확산으로 봐야 한다”며, “사용자 교육은 물론이고, 전 세계 규제 당국의 협력과 강력한 대응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2025년 들어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도는 많아졌지만, 그만큼 취약점 역시 드러나고 있다. 사이버 범죄의 복잡성과 정교함이 높아지면서 투자자와 플랫폼 모두 강력한 보안 체계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처럼 빠르게 진화하는 암호화폐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와 당국의 공동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10:58

등급

WayneKIM

10:00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7.15 10:58:0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