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암호화폐 단체들, 美 법무부 소프트웨어 개발자 기소에 '기술 생태계 파괴' 반발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3

미국 주요 암호화폐 단체들이 오픈소스 개발자 마이클 루엘렌 기소에 반대하며, 과도한 법 적용이 기술 혁신을 억제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법 적용 기준의 명확화를 정부에 촉구했다.

 암호화폐 단체들, 美 법무부 소프트웨어 개발자 기소에 '기술 생태계 파괴' 반발 / TokenPost Ai

암호화폐 단체들, 美 법무부 소프트웨어 개발자 기소에 '기술 생태계 파괴' 반발 / TokenPost Ai

미국 내 주요 암호화폐 로비 단체들이 법무부(DOJ)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기소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최근 블록체인협회와 디파이 교육 펀드, 패러다임(Paradigm), 솔라나정책연구소, 유니스왑재단 등은 연합을 결성하고, 마이클 루엘렌을 옹호하면서 DOJ의 법률 적용이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패러다임은 7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에 제출한 친구의견서(Amicus Brief)에서, 검찰이 루엘렌이 공개한 오픈소스 코드를 불법 송금 행위로 간주한 것은 법률을 잘못 해석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루엘렌은 탈중앙화 방식의 암호화폐 프로토콜을 만들고, 이를 일반에 공유했을 뿐인데, DOJ는 그 행위를 마치 불법 머니트랜스퍼 서비스 제공처럼 보고 있는 것이다.

이번 연합은 미국 연방법률 18조 1960항을 들어, 그 적용이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해당 조항은 무등록 송금업자 처벌에 관한 내용이지만, 이들은 오픈소스 코드를 공유하는 행위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정부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따르고 법률 자문까지 받은 개발자들마저 형사처벌 위협에 직면해 있는 현실이 문제라고 짚었다. 로만 스톰처럼 재판에 회부된 사례도 드물지 않다.

패러다임은 성명을 통해 “이 같은 법무부의 주장은 단순히 법률적으로 틀렸을 뿐 아니라, 미국 내 중립적 암호화 인프라의 미래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이런 환경이 계속된다면 혁신은 국외로 유출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들이 제출한 의견서는 루엘렌이 수행한 행위가 불법 송금으로 간주될 수 없으며, 미국 내 법 체계가 명확한 기준 없이 기술 개발자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또한, 연합은 미국 정부가 null법 적용 기준null을 더욱 투명하게 명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렇지 않으면 개발자들은 어떤 행위가 합법인지 아닌지 판단하지 못한 채 정지된 상태에 머물 수밖에 없으며, 장기적으로는 국내 개발자들의 이탈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법률 공방이 아니라, 오픈소스 기반의 탈중앙 기술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합 측은 “불합리한 기소가 계속된다면 업계와 투자자 모두 미국 법체계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될 것”이라며 정부에 법률 명확화를 재차 요구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00:0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7.09 22:18:0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