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 온체인] UNI 64.8억 거래소 입금, 이더는 130.7억 출금...엇갈린 흐름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이더리움 기반 자산 시장은 중립적인 밸류에이션 흐름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온체인에서는 유니스왑(UNI),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스트라이크(STRIKE) 등 일부 자산을 중심으로 뚜렷한 지갑 이동과 송금 활동이 포착되고 있다.

 업비트 데이터랩

업비트 데이터랩

이더리움 기반 자산 시장은 밸류에이션 중립 구간이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온체인 상에서는 UNI, ENS, STRIKE 등 특정 자산을 중심으로 송금·지갑 활동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4일 오전 9시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상장 자산 99개 가운데 중립 구간에 위치한 자산이 56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저평가(41개), 고평가(2개) 자산이 뒤를 이었다.

현재 가격이 적정하다고 평가된 자산이 다수를 이루는 점에서 시장 전반의 밸류에이션이 균형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과열되거나 과도하게 위축된 구간 없이, 안정적인 평가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매우 저평가 ▲랠리(RLY) ▲일드길드게임즈(YGG)
저평가 ▲스트라이크(STRIKE) ▲루프링(LRC) ▲래드웍스(RAD) ▲퀴즈톡(QTCON) ▲에이프코인(APE)
중립 ▲에이브(AAVE) ▲맨틀(MNT) ▲체인링크(LINK) ▲뱅크로(BNT) ▲페페(PEPE)
고평가 ▲이더리움(ETH) ▲펜들(PENDLE)

이더리움 네트워크 평균 온체인 프리미엄은 –2.41%로, 전일 대비 0.0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블록체인 상에서의 거래 가격이 중앙화 거래소보다 더 낮은 '역프리미엄'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온체인 매도 압력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이 탈중앙화 환경에서 더 저렴한 가격에 거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프리미엄 종목 ▲재스미코인(JASMY, +3.41%) ▲퍼퍼(PUFFER, +3.10%) ▲레드스톤(RED, +2.89%) ▲오디우스(AUDIO, +2.40%) ▲매직(MAGIC, +2.25%)
역프리미엄 종목 ▲스트라이크(STRIKE, –79.68%) ▲덴트(DENT, –28.32%) ▲오션프로토콜(OCEAN, –7.03%) ▲폴리스윗(NCT, –2.12%) ▲일드길드게임즈(YGG, –2.01%)

블록체인 기반 자산의 송금 활성도에 따르면 24일 기준 일일 송금 횟수가 30일 평균을 하회한 자산이 53개로, 상회한 자산(51개)보다 다소 많았다. 전반적으로 블록체인 활동이 감소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매우 낮음 ▲펀디에이아이(PUNDIAI) ▲코박토큰(CBK) ▲폴리스웜(NCT) ▲토카막네트워크(TOKAMAK) ▲카이버네트워크(KNC)
낮음 ▲뉴턴프로토콜(NEWT) ▲타이코(TAIKO) ▲매직(MAGIC)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밸런스(EPT)
중립 ▲하이퍼레인(HYPER) ▲블러(BLUR) ▲카르테시(CTSI) ▲트루USD(TUSD) ▲리저브라이트(RSR)
높음 ▲펀디엑스(PUNDIX) ▲사이버(CYBER) ▲유에스디에스(USDS) ▲파워렛저(POWR) ▲마이쉘(SHELL)
매우 높음 ▲덴트(DENT) ▲아르고(AERGO) ▲온도파이낸스(ONDO)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무브먼트(MOVE)

이더리움 자산 온체인 동향

공개된 거래소 지갑 최다 입금 ▲테더(USDT, 500.92억 원) ▲유니스왑(UNI, 64.80억 원)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22.76억 원) ▲온도파이낸스(ONDO, 8.86억 원) ▲폴리곤에코시스템토큰(POL, 7.13억 원)

이더리움 상위 지갑 최다 입금 ▲테더(USDT, 347.75억 원) ▲이더리움(ETH, 130.71억 원) ▲페페(PEPE, 5.45억 원) ▲커브(CRV, 2.71억 원) ▲오디오우스(AUDIO, 65.21백만 원)

이더리움 상위 지갑 최다 보유 ▲이더리움(ETH, 153.34조 원) ▲테더(USDT, 14.36조 원) ▲시바이누(SHIB, 2.38조 원) ▲유에스디코인(USDC, 2.21조 원) ▲체인링크(LINK, 1.60조 원)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7.24 15:53:5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