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4,000달러 돌파 임박? 노보그라츠 "기관 유입이 상승 촉매"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마이크 노보그라츠는 기관 투자자 유입과 공급 부족을 근거로 이더리움이 곧 4,000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온체인 데이터도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더리움(ETH), 4,000달러 돌파 임박? 노보그라츠

이더리움(ETH), 4,000달러 돌파 임박? 노보그라츠 "기관 유입이 상승 촉매"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이 다시금 시장의 중심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갤럭시 디지털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이 조만간 4,000달러(약 5,560만 원)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한 상승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들의 대거 유입이 이를 이끄는 ‘비밀 병기’가 될 수 있다.

실제로 비트마인(BitMine), 샤플링크 게이밍(Sharplink Gaming), 이더머신(The Ether Machine) 같은 기업들은 현재 총 130만 ETH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유통량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노보그라츠는 “떠도는 이더리움 공급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는 대규모 매수가 시장 가격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는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더리움은 단순한 유틸리티 토큰을 넘어, 전략적 가치저장 자산과 수익형 자산(Yield-bearing asset)으로도 재인식되고 있다. 특히 상장을 앞두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ETH를 대거 보유하며 준비에 나서고 있는데, 이는 시장 내 공급 압박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BTC)에 비해 가격 회복 속도에서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최근 1개월간 ETH/BTC 비율이 36% 이상 급등하며 상승세를 확연히 보여주고 있으며, 노보그라츠는 “비트코인을 여전히 낙관적으로 보지만, 단기적으로는 이더리움이 먼지를 날리며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과 관련해서도 그는 장기적으로 15만 달러(약 2억 850만 원)까지 상승 가능성이 있다며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했지만, 미국의 금리정책이 예측불허로 바뀔 경우 시장 흐름이 바뀔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에 성공할 경우 금융 정책 변화가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온체인 데이터도 이더리움의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은 1,310억 달러(약 182조 원)로 2024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고, DeFi 생태계를 나타내는 총 예치 자산(TVL)은 2,220만 ETH에 달해 이더리움 기반 금융 활동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마켓캡 대비 스테이블코인 비율이 3.4배까지 감소해, 시가총액 대비 유동성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풍부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전문가들은 이더리움 가격이 4,000달러선을 상회한 후 신규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계단식 매수세가 형성되면 시장의 반등세는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의 시선이 비트코인에서 점차 이더리움으로 옮겨가는 지금이 전략적 투자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0:14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7.26 00:14: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25 17:10:0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