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XRP, 2025년 1,000달러 가능성? 글로벌 브리지 자산 도약에 업계 주목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2

디지털 애센션 그룹의 제이크 클레이버는 XRP가 글로벌 결제 표준이 된다면 1,000달러 진입은 현실적인 가능성이라고 전망했다. 리플은 국제 파트너십과 생태계 확장으로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중심으로 부상 중이다.

 XRP, 2025년 1,000달러 가능성? 글로벌 브리지 자산 도약에 업계 주목 / TokenPost.ai

XRP, 2025년 1,000달러 가능성? 글로벌 브리지 자산 도약에 업계 주목 / TokenPost.ai

리플(XRP)의 가격이 2025년에 네 자릿수를 돌파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과장된 상상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전혀 불가능한 시나리오로 보지 않는다. 디지털 애센션 그룹(Digital Ascension Group)의 제이크 클레이버(Jake Claver) 디렉터는, XRP가 글로벌 송금 및 결제 표준으로 자리 잡는다면, 그만한 가격은 단순한 바람이 아닌 필연적인 조건이라고 지적한다.

클레이버는 최근 인터뷰에서 “만약 XRP가 전 세계 금융기관들에 의해 국경 간 유동성 이동을 위한 핵심 자산으로 채택된다면, 현재 수준의 가격으로는 그 막대한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즉, 수조 달러 규모의 글로벌 결제를 지원하려면 XRP 자체의 가치 체계에도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리플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오랜 시간에 걸쳐 다각적인 전략을 펼쳐왔다. 단순히 송금 서비스를 넘어서, 암호화폐 거래소, 브로커-딜러, 수탁 업체까지도 인수하며 종합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해왔다. 일본의 SBI홀딩스, 블록체인 기업 R3, 스페인 대형 은행 산탄데르 등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리플이 단지 기술 제공업체가 아닌, 글로벌 디지털 금융 인프라의 핵심 축으로 성장 중임을 방증한다.

XRP의 중앙화 논란에 대해서도 클레이버는 반박했다. 그는 “XRP 원장은 리플만이 아니라 대학, 은행 등 독립된 검증자(Validator)들로 구성돼 있으며, 일부 규제당국도 참여 논의에 있다”고 설명했다. 실질적인 탈중앙성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이는 향후 규제당국의 승인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클레이버는 리플의 본격적인 변화가 2026년 무렵부터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양한 국가에서의 라이선스 취득, 국제적인 네트워크 확장, 실용성 높은 활용도 덕분에 XRP는 글로벌 금융시장을 잇는 ‘브리지 자산’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업계는 XRP가 정말로 네 자릿수 가격, 즉 1,000달러(약 139만 원)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을 두고 여전히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기반, 제도적 진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요소들이 맞물린다면, 지금은 공상처럼 보이는 이 숫자도 머지않은 미래에는 현실의 단위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toko21

19:35

등급

RICHB

16:5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