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이번 주 초 단기 하락세를 보이며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 아래로 잠시 밀렸다. 주말 사이 11만 7,000달러~11만 9,000달러(약 1억 6,263만 원~1억 6,541만 원) 구간에 형성된 내부 유동성이 흡수되면서, 약 1억 달러(약 1,390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통상 이 같은 유동성 흡수는 방향성 전환의 전조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시간봉 기준 10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은 여전히 단기 지지선 역할을 하며 하방 압력을 일정 부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트레이더는 조정 이후 상승 재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으나 시장 전반의 분위기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 지점을 단기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코인가격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라스(CoinGlass)에 따르면, 이 가격대 인근에는 약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 규모의 숏 포지션 청산 물량이 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청산 쇼크에 따른 급등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다만, 여름철 비수기의 계절적 특성과 기술적 지표는 상승세의 지속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신호를 보낸다. 상대강도지수(RSI)의 하락, 스팟 비트코인 ETF의 자금 유출, 저조한 거래량은 모두 시장의 매수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신호들은 3분기 중반으로 접어드는 현시점에서 단기 조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번 주 수요일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와 백악관에서 나올 수 있는 암호화폐 관련 긍정적 발언은 향후 방향성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다. 현재 시장은 해당 이벤트로 인한 정책 변화 혹은 우호적 기조에 기대감을 걸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암호화폐 산업에 친화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정치적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추가 상승 모멘텀 제공자로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변동성이 높은 장세임을 경고하며, 유입 및 유출 자금 흐름과 글로벌 매크로 지표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