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또 하나의 중요한 저항선과 맞닥뜨렸다. 최근 가격 움직임에 따르면, 시장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부근에서 뚜렷한 매도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 구간은 단순한 심리적 저항선이 아닌 기술적인 고점 구간으로 분석되고 있다. 가격 변동성과 청산 데이터를 종합하면 이 수준에서 매도 포지션이 집중돼 있는 모습이다.
최근 BTC/USDT 청산 히트맵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부근에 청산 리스크가 밀집됐음을 보여준다. 이 구간에 레버리지 숏 포지션이 몰려 있는 만큼, 만일 상승 강세가 이를 돌파하면 대규모 ‘숏 스퀴즈’가 촉발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선 이 저항대가 시장의 유동성을 끌어오는 핵심 구간으로 작용하며, 가격 상승을 가로막는 구조적 장벽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에서 횡보하고 있으며, 최근 며칠간 안정된 움직임을 보여주는 가운데, 전형적인 변동성 수축 패턴이 관측된다. 거래량 역시 감소 추세이며, 상대강도지수(RSI)는 과매수 직전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강한 시장 자극이 발생하면 급등할 수 있는 반면, 돌파에 실패할 경우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방에서는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 부근이 또 다른 중요한 청산 구간으로, 만일 강한 저항에 다시 부딪혀 되돌림이 일어난다면 이 지점이 유동성 확보 대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주요 50일, 100일, 200일 이동평균선은 여전히 상승 추세이자 이격이 큰 상태로, 시장의 구조적 강세를 뒷받침한다.
궁극적으로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돌파는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의 다음 움직임을 결정할 분수령이다. 이 수준을 강하게 뚫고 올라선다면 단기간 내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를 향한 랠리가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저항 돌파에 실패하고 유동성 매집을 위해 하방 재진입할 경우,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 이하로 추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 지점에서는 저조한 유동성이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