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단기 급등 이후 강하게 되돌림을 겪으며 주요 지지선 시험대에 올라섰다. 이번 하락은 매수세가 약화된 상태에서 과열된 롱 포지션 청산으로 촉발되면서, 기술적 구조에 중대한 균열을 유발했다는 분석이다.
일일 차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최근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를 돌파한 직후 급격한 매도에 직면하며 11만 3,000달러(약 1억 5,707만 원)선 아래로 하락했다. 특히 10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면서, 가격 흐름에 있어 전환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수준이 유지될 경우 반등이 가능하겠지만, 그럴 경우에도 다시 11만 7,000달러 이상으로 올라서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에서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구간이 핵심 지지대다. 이 영역은 상승 추세선과 과거 주요 반등 지점이 충돌하는 구간으로 매수세가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해당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매도 압력은 더욱 가중되며 10만 7,000달러(약 1억 4,883만 원) 아래 유동성 장벽까지 밀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4시간 차트에서는 11만 7,000달러 돌파 직후 강한 매도세가 유입되며 단기 상승 추세선이 붕괴된 모습이 뚜렷하다. 이후 가격은 수요 집중구간인 11만 달러 부근까지 밀렸다. 이 지점에서 강한 반등이 나오지 않는다면, 다음 목표 구간은 10만 7,000달러 일대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
온체인 분석 역시 이러한 하락 움직임이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 아닌, 롱 포지션 강제 청산(long squeeze) 에서 비롯됐음을 입증한다. 비트코인이 11만 7,000~11만 8,000달러(약 1억 6,263만 원~1억 6,402만 원)대에 진입하면서 과다한 레버리지 롱 포지션이 형성됐고, 가격이 이를 유지하지 못하자 연쇄적인 청산이 발생하며 급락세를 유도했다.
현 시점에선 11만 달러 부근이 단기 지지선 역할을 수행 중이다. 다만 아직 파생상품 시장의 미청산 계약 규모가 크고,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시장 전반은 여전히 높은 변동성과 추가 하락 가능성에 노출돼 있다. 분석가들은 “이번 정리 과정이 충분히 마무리돼야 안정적인 반등이 가능하다”며, 거래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