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리사 쿡 이사는 최근 발표된 7월 고용지표 부진을 두고 미국 경제 흐름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이를 계기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리사 쿡 이사는 8월 6일(현지시간)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주최 좌담회에 참석해 “7월 고용 통계에 대한 조정은 통상 경제 전환기의 전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있어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일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7만 3천 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밑돈 수치다. 더 큰 충격은 앞선 5월과 6월의 고용 증가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총 25만 8천 명 감소로 되잡힌 데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통계의 신뢰도를 의심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는 결정을 내렸다.
고용 둔화는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난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가 전격 사임한 것을 계기로 연내 금리 인하에 무게를 두는 목소리가 연준 내부에서 한층 커지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단기적으로 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며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쿡 이사는 최근 불확실성의 지속이 기업 활동에 일종의 '세금'처럼 작용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실제 손실은 국내총생산(GDP)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는 고용 부진뿐 아니라 전반적인 경기 하방 압력이 체감보다 더 크다는 점을 암시하는 평가다.
이러한 흐름은 오는 9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고용부진이 구조적인 흐름으로 해석될 경우, 연준은 경기 방어를 위한 선제 대응책으로 정책 완화를 선택할 여지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