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한전KPS, 2분기 영업이익 11.8%↓…매출 늘었지만 수익성 악화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한전KPS가 2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동반 하락하며 수익성 저하를 겪었다. 원가 상승과 정책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전KPS, 2분기 영업이익 11.8%↓…매출 늘었지만 수익성 악화 / 연합뉴스

한전KPS, 2분기 영업이익 11.8%↓…매출 늘었지만 수익성 악화 / 연합뉴스

한전KPS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출은 소폭 증가해 수익성 면에서 뚜렷한 엇갈림을 보였다.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설비 정비 전문 자회사인 한전KPS는 8월 7일 금융감독원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 회사의 2분기 영업이익은 65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8% 감소했다. 반면 매출은 4,540억 원으로 5.9% 늘었고, 순이익은 14.6% 줄어든 50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실적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매출이 증가한 반면 이익 지표는 나란히 하락했다는 점이다. 이는 원가 상승이나 인건비 증가, 혹은 특정 프로젝트에서의 수익성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한전KPS는 산업 특성상 장기 유지보수 계약과 공공 발주 사업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여서, 경기 변화나 정부 정책에 따라 수익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다.

한전KPS는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를 포함해 국내 주요 전력 설비의 점검과 정비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 성격의 기업이다. 주로 한국전력 관련 계열사의 안정적인 수요 기반이 뒷받침되지만, 최근 들어 에너지 전환 정책과 투자 구조 변화 등 외부 요인이 이익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 같은 실적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에너지 분야에서 신재생 확대와 원전 운영 효율화 등 산업 구조 변화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한전KPS의 수익 모델도 이에 맞춰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향후 실적 개선을 위해 해외 정비 사업 확대와 고부가가치 기술력 강화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