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SK, 11번가 완전 자회사 만든다…지배구조·커머스 전략 전면 재편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SK그룹이 4,673억 원 규모로 11번가 지분을 SK플래닛에 넘기며 커머스 중심의 사업 재편에 나섰다. IPO 무산으로 FI들도 출구 찾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SK, 11번가 완전 자회사 만든다…지배구조·커머스 전략 전면 재편 / 연합뉴스

SK, 11번가 완전 자회사 만든다…지배구조·커머스 전략 전면 재편 / 연합뉴스

SK스퀘어와 재무적 투자자가 보유한 전자상거래업체 11번가의 지분이 SK플래닛으로 넘어가면서, 11번가는 앞으로 SK플래닛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이번 매각은 SK그룹 내부에서 지배구조와 사업 전략을 재정비하는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번 거래는 SK스퀘어가 보유한 11번가 지분 전량(3,810억 원 상당)과 재무적 투자자(FI)인 나일홀딩스의 지분(863억 원 규모)을 포함한 것으로, 총 매매 대금은 4,673억 원에 달한다. FI들은 지난 2018년 11번가에 5,000억 원을 투입하며 향후 기업공개(IPO)를 기대했지만, 올해 9월 말까지 IPO가 성사되지 않으면서 수익 실현을 위해 지분 회수를 추진한 것이다.

당초 투자 약정 조건에 따르면, IPO가 5년 내 이뤄지지 않을 경우 SK스퀘어는 해당 지분을 다시 사들이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SK스퀘어가 콜옵션을 포기하면서, 구조조정 차원에서 지분을 자회사인 SK플래닛에 넘기는 방식으로 방향을 틀었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기관 자금이 상당히 투입된 만큼, 내부 인수 방식을 통한 출구전략이 현실적 대안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재편에 따라 SK플래닛은 11번가뿐 아니라, 공유오피스 기업 스파크플러스와 게임사 해긴,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 등 SK스퀘어가 보유 중이던 일부 유망 자산도 넘겨받게 된다. 이는 플랫폼 중심의 사업 구도를 강화하고, SK 그룹 내 디지털·소비자 접점 사업을 재조정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실제로 SK플래닛 측은 11번가와의 시너지를 통해 '마일리지-커머스 통합 플랫폼'으로의 전략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OK캐쉬백과 11번가의 연계를 강화해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AI(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해 맞춤형 상거래 서비스인 ‘AI 기반 맥락 커머스’로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

이번 11번가 매각과 별개로, SK텔레콤이 보유한 또 다른 유통 자회사인 SK스토아는 매물로 나와 인수 후보 기업들이 실사를 진행 중이다. 이는 그룹 차원에서 유통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계열사 재편 흐름은 SK가 주요 사업 역량을 미래 성장 산업에 집중하고, 비핵심 자산을 정리함으로써 그룹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방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다사랑

01:56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