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올해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 규모를 크게 늘리며,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 개선에 힘을 보탰다. 특히 친환경 산업에 투자하는 기업을 겨냥한 녹색채권 발행도 확대하며, 정부의 지속가능 성장 기조에 부응하고 있다는 평가다.
기술보증기금은 11월 10일, 올해 총 5천865억 원 규모의 채권담보부증권을 발행해 303개 기술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발행액(약 4천765억 원)보다 1천100억 원 증가한 수치다. P-CBO는 자체 신용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회사채를 유동화해 발행하는 증권이며, 기보는 유동화과정에서 유동화회사가 부담하는 채무에 보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신용도를 보완하고 있다.
채권담보부증권은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업에는 직접금융을 통한 장기자금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다. 이 제도는 금융기관 대출 중심의 간접금융에 의존해온 국내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을 다변화하고,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금 확보를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효율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보는 올해 발행한 증권 중 일부를 녹색채권 형식으로 발행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는 중소기업을 전략적으로 지원했다. 전체 발행 규모 중 795억 원은 녹색자산유동화증권 형태로, K-택소노미(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부합하는 기술을 보유한 33개 기업에 투입됐다. 이는 친환경·저탄소 산업을 확대하려는 정부 정책 기조와도 맞물린다.
K-택소노미는 탄소중립 목표에 맞춰 정부가 정의한 ‘녹색경제 활동’의 기준을 의미하며,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사업에 자금이 투입될 경우 정책 금융 및 민간 투자 유치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금융기관들은 최근 이를 준수하는 기업에 대해 금융지원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흐름은 중소기업의 자생적인 성장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정책 방향성과 맞물려 계속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금리 상승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겹친 상황에서,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 모델은 중소기업 생존에 중요한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