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英·獨 정부 이메일이 5만 원에 팔렸다… ‘디지털 신분증 도둑’의 역습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악성 해커들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정부 이메일 계정을 해킹해 다크웹에 판매하고 있다고 애브노멀 시큐리티가 밝혔다. 해당 계정은 정상 작동하는 상태로 판매돼 사법 시스템 악용까지 우려된다.

 美·英·獨 정부 이메일이 5만 원에 팔렸다… ‘디지털 신분증 도둑’의 역습 / TokenPost.ai

美·英·獨 정부 이메일이 5만 원에 팔렸다… ‘디지털 신분증 도둑’의 역습 / TokenPost.ai

악성 해커들이 미국, 영국, 독일, 인도, 브라질 등 각국의 경찰과 정부 기관 이메일 계정을 다크웹에 내다팔고 있다. 사이버 보안 기업 애브노멀 시큐리티에 따르면 이들 계정은 단돈 40달러(약 5만 7,000원)부터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몇 주 동안 실제 사용 중인 정부 이메일 수십 개가 불법 암시장에서 발견됐다.

문제는 해당 계정들이 단순히 도용된 것이 아니라 진짜 이메일 발신 이력과 접근 권한을 갖춘 ‘정상 작동 중인 계정’이라는 점이다. 이는 기존 보안 시스템으로는 걸러내기 쉽지 않다. 공격자들은 이 계정을 통해 위조된 영장이나 데이터 요청서를 발송해 기업으로부터 민감한 정보를 받아내고, 정부 포털이나 수사 도구에 접근하는 등 권한을 넘는 행위를 벌일 수 있다.

애브노멀 시큐리티는 세 가지 주요 침해 방식도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사용된 약한 비밀번호를 노리는 자격 증명 탈취, 브라우저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수확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그리고 정교한 피싱 및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이 핵심 경로다. 일단 손에 넣은 계정은 암호화된 텔레그램 채널을 중심으로 SMTP, POP3, IMAP 등 이메일 프로토콜 정보까지 포함된 형태로 거래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사례 중 하나는 공격자가 미국 X(구 트위터)의 법적 요청 시스템에 직접 접근해 계정 강제 삭제와 민감 정보 열람을 수행한 사안이다. FBI 역시 경찰 이메일을 낚아채 허위 정보 요청을 보내는 시도가 급증하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공격자들은 자동차 번호판 조회 시스템, SNS 상의 수사 요청 포털, 수사 기밀 데이터베이스 등 고도로 민감한 내부 시스템에까지 침투한 흔적도 남겼다. 이는 단순한 신분 위장이 아닌, 실제 정부 권한을 활용한 범죄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갈수록 지능화되는 위협에 기존 이메일 보안 게이트웨이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공격이 SPF(보낸 사람 정책 프레임워크)·DKIM(도메인 기반 전자메일 인증) 같은 인증 필터를 우회할 만큼 정교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애브노멀 시큐리티는 최소한의 대응으로 ▲강력한 비밀번호 관리 ▲다단계 인증의 전면적 도입 ▲비정상 행위 탐지의 고도화를 촉구했다. 이제는 단순한 보안 사고를 넘어, 사법 질서를 악용한 디지털 범죄라는 새로운 경계가 드러나고 있다. 이 같은 정체불명 침입에 대해 정부 기관과 IT 기업 모두 더욱 엄중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