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에서 발생한 휴대전화 소액결제 사기 피해와 관련해, 상품권 판매 업종의 결제 한도를 기존 100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대폭 줄이기로 했다. 이는 최근 특정 지역에서 본인 인증 없이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피해가 잇따르면서, 긴급 대응 차원에서 마련된 조치다.
KT는 6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광명시와 금천구 일부 고객의 휴대전화에서 사용자 의사와 무관한 소액 결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고, 이를 막기 위해 해당 업종의 결제 제한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특히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익숙한 결제 항목을 악용한 수법이 포착된 만큼, 부정 사용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결제 한도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KT는 휴대전화 결제대행사(통상 ‘PG사’라 불리는 회사)와 협조해, 비정상적 결제 시도를 감지하는 보안 시스템 감시도 강화했다. 여기에 해당 지역에서 소액결제를 사용한 고객 중 의심스러운 거래 내역이 확인될 경우, 해당 고객에게 개별 연락을 취해 상담과 피해 확인 절차도 진행할 계획이다.
KT 측은 “이러한 사건으로 인해 고객에게 불편과 걱정을 끼쳐 죄송하다”며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광명과 금천 지역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통합해 수사 중이며, 수십 건에 달하는 피해 사례가 접수된 상태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광명시 소하동·하안동, 서울 금천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사건 발생 시기는 지난 8월 27일부터 31일 사이 새벽 시간대로 확인됐다. 특이한 점은, 피해자들이 휴대전화를 개통한 대리점이 서로 다르고, 악성 앱 설치나 스미싱(문자를 통한 피싱 범죄) 흔적도 발견되지 않아, 범행 수법 자체가 기존과 다른 방식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행동은 통신사의 결제 시스템이나 인증 절차의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악용됐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게 하며, 향후 유사한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신사 차원의 보안 강화뿐 아니라, 전자결제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도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