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와 관련해, 해당 지역에서 상품권 관련 결제 한도를 일시적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는 최근 이들 지역에서 이용자 동의 없이 이뤄진 수십 건의 결제 피해가 잇따라 발생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KT는 6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사고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고, 결제 피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전했다. 주요 내용은 상품권 판매 업종에 대한 결제 한도 축소와 결제 트래픽에 대해 비정상 시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보안 모니터링 강화다. KT는 휴대전화 결제대행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 PG사)들과 협의해 피해 방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지난 8월 말부터 9월 초 사이, 주로 심야 시간대에 피해자들 휴대전화에서 의도치 않게 수십만 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이 일어난 것이 발단이 됐다. 피해자들은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 금천구에 거주 중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이 사건을 병합해 수사에 착수했다.
특히 이 사건의 특이한 점은 피해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스미싱 문자 수신이나 악성 앱 설치 등의 전형적인 해킹 정황 없이 피해를 입었다는 데 있다. 또한 피해자들이 휴대전화를 개통한 대리점도 서로 달라, 특정 통신망이나 유통 채널에서의 취약점으로 단정 짓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수사당국이 단순 보안 사고가 아닌 새로운 유형의 결제 시스템 악용 가능성까지 함께 따져보게 만든 배경이다.
KT는 이와 함께 이상 거래가 의심되는 고객을 개별적으로 선별해 직접 연락을 취하고 상담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수사기관과도 긴밀히 협조해 사고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소비자 피해 최소화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번 사고는 휴대전화 기반의 간편 결제 시스템이 보안 위협에 얼마나 쉽게 노출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례로, 향후 이동통신사와 결제대행사 모두 보다 적극적인 보안대책 마련이 요구될 전망이다. 특히 시스템 내 기술적 취약점이 외부의 정황 없이 악용된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결제 인프라 전반에 대한 정밀 점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