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건축 설계 검토 과정을 혁신하고 있다. 회사는 8월 27일 업계 최초로 AI 기반의 구조도서 검토 시스템을 개발하고, 해당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구조도서는 건축물의 힘을 견디는 뼈대를 설계한 결과를 담은 도면과 계산서로 구성돼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전을 검토하게 되는데, 현재까지는 대부분 사람이 도면을 비교하고 수정 사항을 점검하는 방식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오류 가능성이 높고,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GS건설이 개발한 시스템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기반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기존 도면과 변경된 도면을 자동으로 비교하고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도면 속 복잡한 구조 정보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은 물론, 오류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단지 설계 검토에 그치지 않고 현장 시공 단계로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예컨대 드론이나 로봇과 연계해 철근이 설계대로 설치됐는지를 자동으로 검측하는 시스템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실제 일부 건설 현장에 시범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상용화 가능성도 거론된다.
GS건설은 AI 기술을 건설업 전반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음성 번역 AI '자이 보이스'를 도입해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을 개선하고, 시공 기준서를 쉽고 빠르게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이북' 시스템도 개발한 바 있다. 이번 구조도서 시스템은 이 같은 디지털 전환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기술의 도입은 반복적이고 위험 요소가 많은 건설업의 특성상 인적 오류를 줄이고, 전반적인 구조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는 설계, 검토, 시공 등 전 공정에서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와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이 보다 보편화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