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A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공영주차장 조성에 나선다. 이 사업은 전국 최초로 자율주행 순찰로봇을 도입해 안전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동대문구는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마트 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에 선정돼 국비 8억 원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약령시 공영주차장을 포함한 7개 지점에 AIoT 기반 스마트 주차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 사업은 범죄 예방과 함께 지역 주민의 주차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핵심 기술은 자율주행 순찰로봇이다. 회기동 청량초등학교 지하 공영주차장에 우선 투입되는 이 로봇은 24시간 주차장을 순찰하면서 화재나 사고 등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즉시 구청 관제센터에 이를 알리는 기능을 갖췄다. 기존 CCTV 기반의 감시 시스템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차 공간 확인과 안내 기능도 자동화된다. 인공지능 CCTV를 활용해 주차 면이 비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뒤, 입구의 만차등과 내부 유도 전광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안내한다. 이를 통해 주차·출차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결제 방식도 전면 개선된다. ‘지갑 없는 주차장’을 목표로 차량번호와 결제수단을 사전 등록하면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는 ‘바로녹색결제’ 시스템을 도입하고, 전농1동 고가도로 밑 주차장에는 하이패스 기반 자동결제 시스템도 적용된다. 동시에 서울주차정보앱과 카카오T 같은 민간 플랫폼과의 실시간 정보 연동도 추진돼, 시민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빈자리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시도는 기술 기반의 공공서비스 향상을 통해 주민 체감도를 높이려는 지자체의 전략적 접근으로 해석된다. 앞으로도 국비 및 시비 확보를 통해 교통 인프라뿐 아니라 방범, 환경 등 다양한 분야로 스마트 기술 도입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도시 경쟁력 확보와 시민 삶의 질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