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9월 2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9월 8일 기준)


  • 주간 시장 개요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2.67% 상승하며 111,137달러에 마감했다. 8월 비농업 고용은 2만 2천 명 증가에 그쳐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고, 노동시장 둔화가 뚜렷해졌다. 이에 따라 9월 25bp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화되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일부 남아 있다. 월러 이사는 노동시장 악화 시 과감한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고, 파월 의장은 데이터 의존적 정책 결정을 강조했다. 7월 근원 PCE는 전년 대비 2.9%로 여전히 목표치 2%를 웃돌며, 서비스 물가의 끈적한 흐름이 연속적 인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약세를 보였지만 구글과 브로드컴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종합적으로 9월 금리 인하는 확정적이며 이후 흐름은 물가 지표가 좌우할 전망이다.


     

  • 금주 주요 일정
    미국에서는 9일 생산자물가지수, 11일 소비자물가지수, 12일 신규실업수당 청구와 미시간대 지수가 발표된다. 유럽은 11일 ECB 금리결정을 앞두고 있으며, 일본은 8일 2분기 GDP, 중국은 9일 소비자물가지수를 공개한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테조스 테스트넷 업그레이드, Morphware 토큰 언락, 셀로 하드포크, 아토스 토큰 언락, 옴니 네트워크 발표 등이 예정되어 있다.


     

  •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현재 기준금리는 4.50%다. 9월 FOMC에서는 400~425bp 인하 확률이 92%에 달하며, 10월과 12월 회의에서는 인하 폭과 속도를 두고 의견이 갈린다. 핵심 변수는 물가다.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 추가 인하 여지가 있으나, 재상승 시에는 완화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


     

  • 암호화폐 시장 흐름
    글로벌 시가총액은 3.78조 달러로 전주 대비 2.16% 증가했다. 비트코인 시총은 2.21조 달러로 글로벌 6위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8.44%로 소폭 상승했고, 이더리움은 13.70%로 감소했다. 테더 도미넌스는 4.46%로 하락했으나, 다시 4.5% 이상으로 올라설 경우 비트코인 107,000달러 지지선이 흔들릴 수 있다.


     

  • 포지션 및 수급
    CME 미결제약정은 2.9% 감소했다. 레버리지 펀드는 순숏을 유지하고 있으며, 딜러는 롱을 줄이고 숏을 소폭 확대했다. 반면 Asset Manager는 롱을 늘리고 숏은 제한적으로 확대해 순롱을 강화했다. 점유율도 30.6%에서 32.6%로 상승했다. 단기적으로는 펀드가 숏을, 중장기적으로는 기관이 롱을 유지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 ETF 수급 동향
    9월 첫 주 현물 ETF는 주 초반 강한 유입세 이후 후반 차익 실현 매물로 유출세가 나타났다. 비트코인 ETF는 한 주간 30억 달러 이상의 순유입으로 투자심리를 끌어올렸으나, 주 후반에는 일부 상품에서 수억 달러 규모의 유출이 이어졌다. 대표 ETF인 IBIT의 9월 5일 기준 순자산가치는 63.21달러, 연초 이후 수익률은 약 17.1%로 집계됐다. 이더리움 ETF는 8월 한 달간 14억 달러 순유입을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앞섰고, 9월에도 상대적 강세가 이어졌으나 5일에는 차익 실현성 유출이 발생했다. 종합하면 비트코인은 유입과 유출이 혼재하며 혼조세를 보였고, 이더리움은 유입 우위 기조를 유지했다.


     

  •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반감기 사이클과 함께 ETF 자금 유입, 제도적 수용이 맞물리며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과거 사이클을 넘어 새로운 강세 국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단기적으로는 107,000달러 지지선이 핵심이다. 해당 구간 방어가 이어지고 있으나 체류 기간이 길어지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CME 갭 해소를 동반한 추가 상승이 요구된다.


     

  • 종합 결론
    9월 25bp 금리 인하는 확정적이며 이후 경로는 고용과 물가에 따라 조정될 전망이다. 비트코인 시장은 107,000달러 지지선 유지 여부가 단기 핵심이다. CME 갭 회복을 동반한 반등이 필요하며, 포지션 측면에서는 기관의 롱 확대와 펀드의 숏 유지가 병존하면서 단기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ETF 자금 흐름은 단기 혼조세 속에서도 구조적으로는 기관 자금 유입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상승 흐름이 유효하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7,910,142 (+2.43%)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6,058,919 (+1.74%)
XRP 로고 XRP (XRP)
4,171 (+1.49%)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389 (+0.03%)
BNB 로고 BNB (BNB)
1,245,679 (+2.46%)
Solana 로고 Solana (SOL)
309,136 (+3.57%)
USDC 로고 USDC (USDC)
1,389 (+0.0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41.2 (+2.28%)
TRON 로고 TRON (TRX)
471.5 (+1.54%)
Cardano 로고 Cardano (ADA)
1,233 (+3.14%)
왼쪽
2025 9월  10(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09.10 (수) ~ 2025.09.11 (목)

43명 참여

정답 84%

오답 16%

진행기간 2025.09.09 (화) ~ 2025.09.10 (수)

43명 참여

정답 63%

오답 37%

진행기간 2025.09.08 (월) ~ 2025.09.09 (화)

49명 참여

정답 80%

오답 20%

진행기간 2025.09.05 (금) ~ 2025.09.06 (토)

40명 참여

정답 88%

오답 13%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