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11월 1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11월 3일 기준)

1. 주간 시장 개요

지난주 글로벌 시장은 FOMC의 금리 인하 결정과 미·중 정상회담이라는 두 가지 주요 이벤트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연준(Fed)은 10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며, 지난해 이후 이어졌던 긴축 기조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파월 의장은 이번 결정을 “경기 둔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예방적 완화”라고 정의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이로 인해 시장은 단기적인 ‘안도 랠리’를 보였으나, 물가 둔화 속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완화 사이클이 장기화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한편 부산에서 개최된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에서는 핵심 광물 및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을 1년간 유예하기로 합의하며 지정학 리스크 완화 기대를 높였다. 또한 미국은 일부 관세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기로 하며 교착 상태였던 미·중 무역 관계에 해빙 조짐이 나타났다.
기업 실적 시즌에서는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알파벳)이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며 시장을 지탱했다. 반면 메타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며 혼조세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지난주는 정책 완화 기대와 무역 리스크 완화가 동시에 작용한 한 주였다.


2. 금주 주요 일정

이번 주 글로벌 시장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기조와 주요 거시지표, 그리고 기술주 실적 발표가 교차하는 구간에 진입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시장은 추가 완화 기대와 경기 둔화 경계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ADP 민간고용, ISM 제조·비제조 PMI, JOLTS 구인건수가 발표될 예정이며,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미국 정부의 부분 셧다운이 지속되면서 일부 통계 발표가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 역시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국의 물가–성장률 간 괴리가 글로벌 금리차와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기업 실적 측면에서는 AMD, 팔란티어, 화이자 등 주요 기술·헬스케어 기업의 결과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번 주 시장의 관심은 ‘AI 인프라 투자 대비 수익성’ 검증에 집중될 전망이다.


3.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10월 FOMC 금리 인하로 기준금리는 4.00%로 조정되었다. 현재 시장은 다음 12월 회의에서 350~375bp 구간으로 추가 인하될 확률을 69.3%로 반영하고 있으며, 사실상 추가 완화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연속적인 인하 가능성이 높게 유지되고 있으나, 셧다운으로 인해 일부 데이터 공백이 지속되고 있어 연준의 판단에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연준은 ‘물가 안정 속도와 고용 둔화 정도’에 따라 추가 조정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며, 시장은 연내 완화 사이클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한다.


4. 암호화폐 시장 흐름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4.5% 하락한 $109,664로 마감하며 글로벌 자산 시가총액 6위를 유지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65조 달러로 전주 대비 -5.2% 감소했으며, 이는 미충족된 CME 갭 해소 과정에서의 조정 영향이 컸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9.93%(+0.55%), 이더리움은 12.75%(-2.74%)로 집계되며, 시장 내 비트코인 중심의 자금 쏠림이 강화되었다. 테더(USDT) 도미넌스는 4.98%(+4.62%)까지 상승하며 5.1% 저항 구간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해당 구간 돌파 시 비트코인 매도 압력이 확대될 수 있어 단기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5. ETF 수급 동향

미국 상장 비트코인 ETF는 최근 일주일간 약 9억 3천만 달러(약 1.3조 원)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이는 최근 5개월 중 가장 강한 유입세로 평가된다.
특히 iShares Bitcoin Trust(IBIT)**와 Fidelity Wise Origin(FBTC)가 주도하며 기관 자금의 복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 ETF에서는 약 1억 4천만 달러 규모의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이는 비트코인 중심의 자금 재편이 이뤄진 결과다. 다만 일부 상품에서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어 중기 재유입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6.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10월 중순 급락 이후 반등세를 이어가지 못한 채, 금일 $100K를 하회하며 $98K 구간에서 단기 지지를 형성 중이다. $98K는 올해 상승 사이클 초입에서 형성된 핵심 지지선이자, 주봉 60일선이 위치한 구간으로 향후 추세 방향을 결정할 분기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해당 지지선이 유지된다면 단기 반등을 통해 상승 흐름 복원이 시도될 수 있지만, 이탈 시 월봉 30일선 부근까지 약 –30% 수준의 조정이 확대될 위험도 존재한다. 다만, 이는 현재 기술적 관점에 기반한 분석으로, 미국 셧다운 해제나 연준 정책 변화 등 거시 변수에 따라 시장 흐름은 빠르게 달라질 수 있다.


7. 종합 결론

글로벌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와 미·중 정상회담에 따른 정책 완화 기대가 교차하는 구간에 있다. 정책 완화, 무역 리스크 완화, 주요 기술주의 양호한 실적이 단기적으로 시장 심리를 지탱하고 있으나, 완화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은 남아 있다. 현재 구간은 유동성 회복과 정책 기대가 맞물린 전환 구간으로, 단기 변동성보다는 방향성 전환의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47,311,988 (-1.72%)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4,768,543 (-5.40%)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45 (+0.03%)
XRP 로고 XRP (XRP)
3,234 (-1.12%)
BNB 로고 BNB (BNB)
1,366,742 (-0.54%)
Solana 로고 Solana (SOL)
226,875 (-2.11%)
USDC 로고 USDC (USDC)
1,445 (0.00%)
TRON 로고 TRON (TRX)
413.7 (+2.37%)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36.7 (-0.81%)
Cardano 로고 Cardano (ADA)
767.7 (-1.82%)
왼쪽
2025 11월  5(수)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05 (수) ~ 2025.11.06 (목)

31명 참여

정답 74%

오답 26%

진행기간 2025.11.04 (화) ~ 2025.11.05 (수)

46명 참여

정답 89%

오답 11%

진행기간 2025.11.03 (월) ~ 2025.11.04 (화)

49명 참여

정답 51%

오답 49%

진행기간 2025.10.31 (금) ~ 2025.11.01 (토)

48명 참여

정답 88%

오답 13%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