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스텔라(Stellar) 현황: 실물 자산(Real-world Assets)

Matt Kreiser 프로토콜 RA Oct 16, 2025 ⋅ 읽는데 약 18분 소요


핵심 인사이트

 

• 스텔라(Stellar)는 초창기부터 실물자산(RWA) 발행 분야를 선도해왔다. 2021년 4월, 블록체인 상 최초의 규제된 머니마켓 펀드(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의 FOBXX, BENJI 토큰)가 스텔라에서 발행됐다.

 

• 9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메리디안 컨퍼런스(Meridian conference)에서 스텔라 개발 재단(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 SDF)은 현재 스텔라에서 이용 가능한 실물자산(스테이블코인 포함)이 3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 9월 발표된 실물자산에는 온도(Ondo)의 미국 달러 수익률 토큰(U.S. Dollar Yield Token, USDY), 메르카도 비트코인(Mercado Bitcoin)이 토큰화한 주식 및 채권, 레드스완(RedSwan)이 토큰화한 다가구 주택 및 호스피탈리티 부동산이 포함된다.

 

• 스텔라의 실물자산(스테이블코인 제외) 규모는 5억 3,330만 달러를 넘어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프랭클린 템플턴의 BENJI가 4억 9,630만 달러로 93.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식 펀드 SPXUX와 TECHX 같은 다른 자산이 뒤를 잇는다.

 

• 대출 및 차입 같은 목적을 위한 디파이(DeFi) 내 실물자산 조합가능성(composability)이 스텔라에서 센트리퓨지(Centrifuge) 같은 플랫폼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센트리퓨지는 자유롭게 전송 가능한 래핑된 미국 국채와 제너스 헨더슨 펀즈(Janus Henderson Funds)의 담보부채권(CLO)을 스텔라로 가져온다.


서론

실물자산(RWA)은 탈중앙화 금융의 패러다임 전환을 나타낸다. 국채, 사모 신용, 공모 주식, 부동산, 심지어 금 같은 원자재 등 오프체인 자산을 토큰화함으로써 전통금융(TradFi)과 블록체인 인프라를 연결한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적으로 비유동적이거나 제한적이거나 비효율적으로 분배되어온 금융 상품에 새로운 수준의 유동성, 프로그래머빌리티(programmability), 글로벌 접근성을 제공한다.

 

스텔라는 초창기부터 실물자산 발행 분야를 선도하는 네트워크였다. 2021년 4월, 블록체인 상 최초의 규제된 머니마켓 펀드(프랭클린 템플턴의 FOBXX, BENJI 토큰)가 스텔라에서 발행됐다. 현재 이 네트워크는 5억 달러 이상의 실물자산(스테이블코인 제외)을 보유하고 있어 실물자산 발행 규모 기준 6번째로 큰 체인이다. 더욱이 9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메리디안 컨퍼런스에서 스텔라 개발 재단은 페이팔(PayPal, PYUSD 스테이블코인),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 미국 국채), 메르카도 비트코인(토큰화된 주식 및 채권), 센트리퓨지(미국 국채 및 담보부채권), 레드스완 디지털(RedSwan Digital, 토큰화된 부동산) 등 다수의 신규 발행사 덕분에 스텔라에서 이용 가능한 실물자산(스테이블코인 포함)이 3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스텔라는 실물자산 발행을 선도하려는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여전히 강력한 경쟁자이며, 기관 및 소매 사용자 모두가 온체인에서 실물자산에 접근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플랫폼이다. 스텔라의 매력은 거의 제로에 가까운 거래 비용과 사람들이 일상적인 금융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제품, 도구, 애플리케이션 생태계에서 나온다. 머니그램 인터내셔널(MoneyGram International) 같은 앵커(Anchor)의 글로벌 네트워크는 스텔라를 전통 금융 레일에 연결하는 온·오프 램프를 제공하며, 스텔라 디스버스먼트 플랫폼(Stellar Disbursements Platform, SDP)은 디지털 결제를 전송하는 턴키 솔루션이다.

 

자산을 위한 네트워크 레벨 기능에는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서명 계정 및 권한 플래그가 포함되며, 스텔라의 애셋 샌드박스(Asset Sandbox)에는 자산 발행 및 관리를 위한 노코드 도구가 포함된다. 더욱이 스텔라 애셋 컨트랙트 표준(Stellar Asset Contract standard), 소로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Soroban smart contract platform), 빠른 블록 최종성(finality) 같은 기술 혁신은 원활한 컴플라이언스 툴링, 수익률 분배, 조합 가능한 디파이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배경은 스텔라를 토큰화된 국채부터 주식이나 채권의 기관 펀드, 토큰화된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실물자산 호스팅에 독보적으로 적합하게 만든다. 스텔라의 인프라는 자산 발행사, 규제당국, 사용자의 요구에 점점 더 맞춰지고 있으며, 기관 규모와 소매 수준 모두에서 실물자산 채택의 길을 열고 있다.

 

스텔라의 실물자산은 6개 주요 카테고리로 나뉜다: 토큰화된 미국 국채, 비미국 부채, 주식 펀드, 부동산, 회사채, 대체 기관 펀드, 원자재. 아카스(Archax), 21X, 비트본드(Bitbond), 캐시링크(Cashlink), 센트리퓨지 같은 인프라 제공업체도 컴플라이언스 및 상호운용성 제공에 핵심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글로벌 자본시장의 상승 물결 속에서 온체인 실물자산의 성장하는 허브로서 스텔라의 궤적을 개관한다.

 

면책조항: 본 보고서의 모든 데이터는 2025년 9월 15일 기준이다.


실물자산 개요

2025년 9월 15일 기준, 스텔라에서 발행된 실물자산(스테이블코인 제외)은 5억 3,33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WTGOLD 같은 원자재를 제외하고 이러한 실물자산은 모두 수익률을 창출하며, 토큰화된 국가 부채부터 주식, 채권, 부동산 및 기타 금융 상품을 포함하는 기관 펀드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수익률 창출 실물자산은 온체인 투자자들에게 오프체인 수익률 흐름에 대한 직접적 노출을 제공하며, 전통금융 대응물 대비 향상된 조합가능성과 연중무휴 접근성을 제공한다.

토큰화된 미국 국채는 10개 상품에 걸쳐 스텔라 실물자산 시장 점유율의 94.8%(5억 580만 달러)를 차지하며, 공모 주식이 10개 상품에 걸쳐 4.1%(2,180만 달러), 비미국 정부 부채가 2개 상품에 걸쳐 0.5%(290만 달러)를 차지한다.


토큰화된 미국 국채

토큰화된 국채는 세계에서 가장 유동적이고 신뢰받는 수익률 상품에 대한 디지털 래퍼를 제공하며, 온체인 자산 관리, 스테이블코인 담보화, DAO 재무 운영의 기초 기둥이 되었다. 스텔라의 토큰화된 국채 시장은 네이티브 및 크로스체인 자산 발행사 모두의 다양한 상품을 포괄한다.

 

프랭클린 템플턴 – BENJI, gBENJI, sgBENJI (온체인 미국 정부 머니 펀드, FOBXX)

 

BENJI 토큰은 프랭클린 템플턴의 온체인 미국 정부 머니 펀드(FOBXX) 1주를 나타낸다. FOBXX는 총 자산의 최소 99.5%를 미국 정부 증권, 현금, 미국 정부 증권 또는 현금으로 완전히 담보된 환매조건부 계약에 투자한다. 각 FOBXX 주식은 미국 달러에 페깅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재투자되는 수익률을 창출해 추가 주식을 얻는다. 투자자들은 프랭클린 템플턴의 벤지 인베스트먼트 플랫폼(Benji investments platform)을 통해 FOBXX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 플랫폼은 사용자가 내장 지갑을 통해 스텔라 또는 다른 지원 체인에서 BENJI 토큰을 보유할 수 있게 한다.

 

FOBXX는 2021년 4월 스텔라에서 처음 발행되어 블록체인 상 최초의 규제된 머니마켓 펀드가 되었다. 2025년 2월, 프랭클린 템플턴은 2024년 10월 룩셈부르크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은 후 gBENJI(글로벌 벤지)를 통해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의 투자자들에게 스텔라에서 BENJI의 이용 가능성을 미국 외 지역으로 확대했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BENJI는 4억 9,630만 달러의 시가총액으로 스텔라에서 가장 큰 실물자산이며 906명의 보유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gBENJI는 5,90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4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같은 날 기준, BENJI, gBENJI, sgBENJI(싱가포르 투자자용) 보유에 대한 7일 현재 수익률은 4.10%다. 현재까지 BENJI, gBENJI, sgBENJI는 프랭클린 템플턴이 제공하는 유일한 실물자산이다. 3분의 2 이상이 스텔라에서 발행되며, 나머지는 7개 다른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다.

 

위즈덤트리(WisdomTree) – 다양한 토큰화된 미국 국채 펀드

 

2025년 9월 15일 기준, 위즈덤트리는 스텔라에서 7개의 토큰화된 미국 국채 펀드를 제공한다. 소매 투자자는 위즈덤트리 프라임 애플리케이션(WisdomTree Prime application)을 통해 최소 1-25 달러의 투자로 각 펀드에 접근할 수 있으며, 기관 접근은 위즈덤트리 커넥트 플랫폼(WisdomTree Connect Platform)을 통해 가능하다.

 

• 위즈덤트리 변동금리 국채 펀드(WisdomTree Floating Rate Treasury Fund, FLTTX): 미국 국채 변동금리 채권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FLTTX는 스텔라에서 18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139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정부 머니마켓 디지털 펀드(WisdomTree Government Money Market Digital Fund, WTGXX): 주당 1.00 달러의 안정적인 순자산가치(NAV)를 유지하는 미국 정부 증권 머니마켓 펀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WTGXX는 스텔라에서 12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582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단기 국채 디지털 펀드(WisdomTree Short-Term Treasury Digital Fund, WTSYX): 만기가 1년에서 3년 사이인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채권 및 어음을 포함한 미국 재무부 채무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WTSYX는 스텔라에서 10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62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3-7년 국채 디지털 펀드(WisdomTree 3-7 Year Treasury Digital Fund, WTTSX): 만기가 3년에서 7년 사이인 미국 재무부 채무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WTTSX는 스텔라에서 10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25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TIPS 디지털 펀드(WisdomTree TIPS Digital Fund, TIPSX): 미국 재무부의 물가연동 채무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TIPSX는 스텔라에서 98만 4,900 달러의 시가총액과 31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7-10년 국채 디지털 펀드(WisdomTree 7-10 Year Digital Treasury Digital Fund, WTSTX): 만기가 7년에서 10년 사이인 미국 재무부 채무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WTSTX는 스텔라에서 97만 5,600 달러의 시가총액과 16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장기 국채 디지털 펀드(WisdomTree Long Term Treasury Digital Fund, WTLGX):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재무부 채무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한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WTLGX는 스텔라에서 84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20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이더퓨즈(Etherfuse) – USTRY (미국 국채 수익률 토큰)

 

USTRY이더퓨즈가 현재 발행하는 5개의 "스테이블본드(stablebonds)" 중 하나다. 각 스테이블본드는 국가에서 발행한 국채의 토큰화된 펀드이며, 이더퓨즈가 제공하는 비미국 정부 부채 토큰은 아래 해당 섹션에서 논의된다. USTRY는 미국 정부 국채의 토큰화된 펀드로 뒷받침되며, 비리베이싱(non-rebasing) 방식이어서 수익률이 발생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한다. 본 보고서 발행일 기준, 연간수익률(APY)은 3.87%다.

 

특히 이더퓨즈가 발행하는 모든 스테이블본드는 특정 관할권의 특정 비미국인에게만 제공된다. 미국이나 미국인에게는 판매되지 않는다. 2025년 9월 15일 기준, USTRY는 스텔라에서 10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181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온도 파이낸스 – USDY (미국 국채 수익률 토큰)

 

온도 파이낸스가 발행한 미국 달러 수익률 토큰(USDY)은 단기 미국 국채(약 99%)와 은행 요구불예금(약 1%)으로 담보된 토큰화된 채권이다. 이 토큰은 비리베이싱 방식이어서 매일 수익률이 발생함에 따라 토큰당 가격이 상승한다. 본 보고서 발행일 기준, 연간수익률은 4.20%다.

 

모든 개인이나 기관은 온도의 온보딩 및 KYC 요구사항을 완료하여 미국 달러 전신송금 또는 USDC 전송으로 새로운 USDY를 생성할 자격을 얻을 수 있다. 특히 USDY는 미국, 미국인 또는 기타 제한 관할권에서 제공되거나 판매되지 않는다. USDY 토큰은 40-50일의 "제한 기간(Restricted Period)" 후 전송 가능해지며, KYC를 완료한 개인 및 기관이 20bp의 환매 수수료를 제외하고 미국 달러로 환매할 수도 있다. 이 토큰은 레이어제로(LayerZero)를 사용해 체인 간 전송 가능하며,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높은 조합가능성을 갖는다. 9월 11일 처음 발행된 후, USDY는 2025년 9월 15일 기준 스텔라에서 61만 9,000 달러의 시가총액과 182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스텔라의 래핑된 미국 국채 실물자산

 

센트리퓨지 – deJTRSY & deJAAA (온체인 미국 국채 및 CLO 노출)

 

이더리움과 폴카닷에서 실물 대출 토큰화에 대한 초기 작업으로 알려진 센트리퓨지는 2025년 9월 deRWA 토큰 표준 도입을 통해 스텔라로 확장을 발표했다. 이 표준은 기존 토큰화된 증권을 디파이 프로토콜과 완전히 조합 가능한 자유롭게 전송 가능한 토큰으로 래핑한다. 이는 이더퓨즈의 스테이블본드에 이어 스텔라에서 디파이와 완전히 조합 가능한 두 번째 실물자산 제공을 의미하므로 중요한 발전이다. 프랭클린 템플턴 및 위즈덤트리 같은 주요 발행사의 다른 규제 준수 실물자산은 스텔라에서 자유롭게 전송할 수 없으며 따라서 디파이 내에서 조합 가능하지 않다. 이처럼 현재 많은 네트워크가 디파이와 조합 가능한 자유롭게 전송 가능한 실물자산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디파이와 완전히 조합 가능한 실물자산 제공 분야에서 스텔라의 선도적 네트워크 중 하나로서의 위치를 강화한다.

 

스텔라에 배포될 첫 번째 deRWA 토큰은 아네모이(Anemoy)가 관리하는 제너스 헨더슨의 단기 미국 국채 펀드의 주식을 나타내는 deJTRSY와 제너스 헨더슨의 AAA 담보부채권(CLO) ETF의 주식을 나타내는 deJAAA다. 두 펀드는 2,000만 달러의 투자로 데뷔할 예정이다. 이러한 자산을 지원할 주목할 만한 디파이 프로토콜로는 탈중앙화거래소(DEX) 아쿠아리우스(Aquarius)소로스왑(Soroswap), 초과담보 대출 및 차입 프로토콜 블렌드(Blend), 디파이 수익률 애그리게이터 디파인덱스(DeFindex)가 있다. 자산은 레이어제로의 OFT 표준(OFT Standard)을 사용해 발행되어 자산 래핑, 미들체인, 유동성 풀 없이 체인 간 쉽게 전송 가능하다.

 

스텔라 출시 예정 미국 국채 실물자산

 

아카스 – 애버딘 머니마켓 펀드(Aberdeen Money Market Fund, 미국 국채 펀드)

 

8월, 영국 규제를 받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아카스는 스텔라 개발 재단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으며, 이는 전문 투자자가 이용 가능한 애버딘 머니마켓 펀드(Lux)의 스텔라 토큰화를 포함했다. 또한 아카스는 자사의 토큰화 엔진과 플랫폼이 이제 스텔라에서 이용 가능하다고 발표했으며, 스텔라 개발 재단이 아카스에 투자했다. 다만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아카스는 로이즈 은행(Lloyds Bank) 및 애버딘 자산운용(Aberdeen Asset Management)과 협력하여 Lux 같은 토큰화된 머니마켓 펀드를 아카스 네스트 담보 이전 네트워크(Archax Nest collateral transfer network)에서 외환(FX) 거래의 마진으로 게시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담보로 사용하고 있다.

 

비미국 정부 부채

 

이더퓨즈 – CETES 및 TESOURO

 

USTRY 제공 외에도 이더퓨즈는 주요 경제국의 국가 부채를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 프로토콜은 2025년 2월 USTRY 및 CETES 도입과 함께 스텔라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CETES는 멕시코 재무부가 발행한 가장 오래된 단기 부채 증권의 토큰화된 펀드다. TESOURO는 브라질 재무부가 발행한 단기 정부채권으로 뒷받침된다. 9월 15일 기준, CETES는 스텔라에서 26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254명의 보유자를 기록했으며, TESOURO는 28만 730 달러의 시가총액과 45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이더퓨즈는 정부 발행 채권으로 뒷받침되는 이러한 토큰화된 실물자산을 "스테이블본드"라고 부른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스테이블본드가 전송 가능하므로 대출 및 차입 프로토콜 블렌드 같은 스텔라 디파이에서 조합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스테이블본드는 브랄레(Brale)가 발행하고 이더퓨즈의 CETES 스테이블본드로 뒷받침되는 멕시코 페소 기반 스테이블코인 MXNe와 함께 스텔라에서 제공된다. 사용자는 브랄레에 직접 온보딩하여 MXNe를 획득할 수 있다. 이더퓨즈는 아직 스텔라에서 이용 불가능한 두 가지 다른 스테이블본드도 제공한다: 영국 재무부(HM Treasury)가 발행한 영국 단기 부채 상품으로 뒷받침되는 GILTS와 유럽연합 내 다른 정부가 발행한 유럽 고정수익 증권 모음인 EUROB다. 채권 기반 안정성과 디파이 유동성을 결합함으로써 이더퓨즈는 미국 달러 중심 상품을 넘어 실물자산 접근을 확대하는 저변동성, 수익률 창출 자산의 새로운 카테고리를 도입한다.


주식 펀드

위즈덤트리

 

2025년 9월 15일 기준, 위즈덤트리는 스텔라에서 10개의 토큰화된 공모 주식 펀드를 제공하며, 이 중 5개가 투자금(0보다 큰 AUM)을 보유하고 있다. 위즈덤트리의 다른 제공 상품과 마찬가지로, 소매 투자자는 위즈덤트리 프라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소 1-25 달러의 투자로 각 펀드에 접근할 수 있으며, 기관 접근은 위즈덤트리 커넥트 플랫폼을 통해 가능하다.

 

• 위즈덤트리 500 디지털 펀드(WisdomTree 500 Digital Fund, SPXUX): 수수료 및 비용 차감 전 위즈덤트리 500 지수(WisdomTree 500 Index)의 가격 및 수익률 성과를 추적한다. 이 지수는 지수의 적격성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미국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500개 기업의 가격 상승 및 총수익률을 포착한다.

 

• 위즈덤트리 기술 및 혁신 100 디지털 펀드(WisdomTree Technology & Innovation 100 Digital Fund, TECHX): 위즈덤트리 기술 및 혁신 100 지수(WisdomTree Technology & Innovation 100 Index)의 가격 및 수익률 성과를 추적한다. 이 지수는 주로 기술 발전 및 혁신에 참여하는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된다.

 

• 위즈덤트리 시겔 글로벌 주식 디지털 펀드(WisdomTree Siegel Global Equity Digital Fund, EQTYX): 미국, 국제, 신흥시장을 포함하여 최소 80%가 주식 투자에 투자된 ETF에 투자한다.

 

• 위즈덤트리 시겔 모더레이트 디지털 펀드(WisdomTree Siegel Moderate Digital Fund, MODRX): 주로 60/40 배분(주식 60%/채권 40%)을 따르는 ETF에 투자한다.

 

• 위즈덤트리 시겔 장수 디지털 펀드(WisdomTree Siegel Longevity Digital Fund, LNGVX): 주로 ETF에 투자하며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더 오래 살아감에 따라 증가한 장수를 다루기 위해 전통적인 60/40 배분(주식 60%/채권 40%)에 비해 주식에 더 많이 투자한다.

 

스텔라 출시 예정 주식 펀드

 

9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스텔라의 메리디안 컨퍼런스에서 메르카도 비트코인은 스텔라에서 2억 달러 규모의 토큰화된 고정수익 및 주식 금융 상품을 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스텔라 개발 재단에 따르면 이러한 실물자산은 2025년 11월과 12월에 출시될 예정이다.


부동산

 

레드스완

 

9월 스텔라의 메리디안 컨퍼런스에서 레드스완 디지털 부동산(RedSwan Digital Real Estate)은 스텔라에서 다가구 주택 및 호스피탈리티 부동산으로 구성된 1억 달러의 상업용 부동산을 토큰화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외 지역의 누구나 투자할 수 있으며,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은 참여하려면 공인투자자 자격이 있어야 한다. 또한 모든 예비 투자자는 참여하려면 KYC/AML을 완료해야 한다. 신규 부동산/펀드에 대한 토큰 판매는 "디지털 토큰 세일(Digital Token Sale)" 기간 동안 완료되며, 이 기간 동안 예비 투자자에게 제안이 마케팅된다. 토큰은 최소 1년간 보유해야 하며, 그 후 레드스완의 호가 사무국(quotation bureau)에 판매용으로 게시될 수 있다. 비용 차감 후 현금 흐름은 분기 또는 연간 기준으로 토큰 보유자에게 분배된다.

 

레드스완은 특정 부동산을 선택하고 싶지 않은 투자자를 위해 두 가지 관리 펀드도 제공한다. 레드스완 CRE 코어 펀드(RedSwan CRE Core Fund)는 잘 알려진 성숙한 시장의 확립된 고품질 부동산에 투자하며, 레드스완 CRE 밸류애드 펀드(RedSwan CRE Value-Add Fund)는 스폰서가 부동산 리노베이션, 운영 효율성 향상, 개선된 마케팅을 통해 자산 가치를 증가시킬 기회가 있는 건물에 투자한다.


기타 실물자산

 

스텔라의 기타 실물자산 카테고리는 회사채, 대체 기관 펀드, 원자재이며, 각각 위즈덤트리로부터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하나의 현재 제공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 위즈덤트리 단기 수익 디지털 펀드(WisdomTree Short-Duration Income Digital Fund, WTSIX): 적극적으로 관리되며 단기 고정수익 증권에 대한 노출을 제공하는 회사채 펀드다. 9월 15일 기준, WTSIX는 10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43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사모신용 및 대체 수익 디지털 펀드(WisdomTree Private Credit and Alternative Income Digital Fund, CRDT): 대체 기관 펀드인 CRDT는 대체 신용 섹터에 대한 다양한 노출을 통해 사모신용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갭스토우 리퀴드 얼터너티브 크레딧 인덱스(Gapstow Liquid Alternative Credit Index, GLACI)의 가격 및 수익률을 추적한다. 9월 15일 기준, WTSIX는 661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12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 위즈덤트리 골드 토큰(WisdomTree Gold Token, WTGOLD): 각 WTGOLD 토큰은 런던 지금시장협회(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 LBMA) 금 바 1트로이온스 부분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원자재 제공 상품이며, HSBC가 런던의 금고 시설을 통해 보관한다. 9월 15일 기준, WTGOLD는 170만 달러의 시가총액과 591명의 보유자를 기록했다.


기타 디파이 통합

 

휴마 파이낸스 인스티튜셔널(Huma Finance Institutional) - 페이파이(PayFi)를 위한 사모신용

 

휴마 파이낸스 인스티튜셔널은 센트리퓨지, 메이플(Maple), 크레딕스(Credix)의 사적이고 허가된 대출과 유사하게 기능하며, 기관 및 전문 투자자가 자본을 대출하려면 KYC/KYB 승인이 필요하다. 9월 15일 기준, 후마 인스티튜셔널 애플리케이션은 자격을 갖춘 투자자가 국경 간 결제 파이낸싱을 위해 아르프(Arf)에 USDC를 예치할 수 있는 스텔라의 풀 하나를 나열했다.

 

아르프는 국경 간 결제를 위한 단기 USDC 기반 파이낸싱을 제공하는 글로벌 유동성 플랫폼으로, 사전 자금 조달 계정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온체인 유동성을 활용하여 아르프는 거래상대방 리스크를 줄이면서 빠르고 저비용의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2024년 4월, 아르프는 유동성 솔루션을 확장하기 위해 후마와 합병했다.


스텔라 출시 예정 디파이 통합

 

스텔라 개발 재단에 따르면 다음 디파이 프로토콜이 현재 스텔라와 통합 중이며 최소 하나의 실물자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 키네틱(Kinetic): 키네틱은 현재 플레어(Flare)에서 이용 가능한 초과담보 대출 및 차입 프로토콜이다.

 

• 템플라(Templar): 템플라는 BTC 보유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역할을 하는 니어(NEAR)의 다자간 계산(multi-party computation, MPC) 네트워크로 BTC를 전송하여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빌릴 수 있도록 하는 무허가 초과담보 대출 및 차입 프로토콜이다. 사용자는 네이티브 BTC를 예치 주소로 전송한 다음 선택한 네트워크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받는다.

 

스텔라 개발 재단에 따르면 템플라는 비트코인을 넘어 다른 자산 예치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차입 지원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템플라의 스텔라 첫 번째 대출/대출 시장은 2025년 10월에 USDC/XLM이 될 것이다. 그 직후 solvBTC, 센트리퓨지 deToken, CETES 예치도 스테이블코인 차입을 위한 담보로 지원될 예정이다.


실물자산 인프라

 

스텔라의 실물자산 생태계는 데이터 오라클 밴드 프로토콜(Band Protocol), 디아(Dia), 리플렉터(Reflector), 레드스톤(Redstone)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호운용성을 위한 레이어제로, 액셀라(Axelar), 올브릿지(Allbridge)를 포함한 다수의 핵심 인프라 제공업체가 지원한다. 더욱이 규제된 자산 거래, 토큰화 및 관리를 위한 다수의 플랫폼이 네트워크와 통합되어 있다. 자유롭게 전송 가능한 조합 가능한 실물자산이 온체인에서 가장 큰 유용성을 제공하지만, 규제 장벽으로 인해 현재 대다수 실물자산이 그러한 방식으로 발행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랫폼은 수조 달러의 규제 준수 실물자산이 온체인에서 발행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무허가 디파이 프로토콜을 통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규제 준수 환경 내에서 대출 및 차입 같은 유용성을 제공한다.

 

• 아카스: 영국 규제를 받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아카스는 8월에 자사의 토큰화 엔진과 플랫폼을 스텔라와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아카스는 AML/KYC 컴플라이언스, 화이트리스트/블랙리스트 관리, 자동화된 수익 분배, 통합 보관 서비스, 자본 조달 및 투자자 커뮤니티 접근을 위한 아카스 인베스트 플랫폼(Archax Invest platform)을 통한 배포 서비스를 포함하여 규제 준수 자산 토큰화 및 관리의 전체 제품군을 제공한다. 아카스는 또한 아카스 거래소(Archax Exchange), 게시판, OTC 데스크를 통한 2차 거래를 지원한다.

 

• 21X: 유럽 최초의 완전 규제된 분산원장기술 기반 거래 및 결제 시스템(DLT TSS)인 21X는 9월에 스텔라와 통합했으며 이 플랫폼이 2025년 말까지 투자자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1X는 금융기관이 처음으로 유럽연합(EU)의 규제된 2차 시장 장소에서 스텔라의 토큰화된 증권을 상장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비트본드: 비트본드는 독일에서 자산 브로커로 규제되는 자산 토큰화 플랫폼이다. 2020년 12월, 비트본드는 독일 은행 방크하우스 폰 데어 하이트(Bankhaus von der Heydt, BVDH)와 협력하여 스텔라에서 EURB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

 

• 캐시링크: 캐시링크는 토큰 기반 증권 발행 및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라이선스를 받은 암호 증권 등록기관이자 암호 수탁기관이다. 캐시링크 커넥트(Cashlink Connect)는 토큰화된 자산의 배포 허브를 제공하며, 캐시링크 스튜디오(Cashlink Studio)는 전체 발행 프로세스를 조정하기 위한 캐시링크 플랫폼의 제어 센터로 기능한다.

 

• 토큰포지(Tokenforge): 토큰포지는 EU 규제 준수 토큰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토큰스위트(TokenSuite) 제품은 MiCAR, MiFID II, 독일 전자증권법(eWpG) 하의 규제 컴플라이언스를 지원한다. 토큰화 서비스 외에도 토큰포지는 2차 시장 거래, 자동화된 배당 분배, 스테이킹 옵션을 지원한다.


마무리 요약

 

스텔라의 실물자산 생태계는 프랭클린 템플턴 및 위즈덤트리 같은 소수의 발행사에서 견고하고 다양하며 기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시장 부문으로 진화하며 놀라운 확장을 겪었다. 수익률 창출 상품, 특히 토큰화된 국채, 주식 펀드, 부동산이 이 생태계를 지탱하며, 조합 가능한 디파이 통합 및 프로그래머블 컴플라이언스가 스텔라를 차별화한다. 신규 미국 토큰화 국채, 비미국 국채, 주식 펀드, 부동산, 회사채, 대체 기관 펀드, 원자재의 동시 증가는 최첨단 인프라와 증가하는 기관 파트너 명단의 지원을 받는 견고한 실물자산 생태계를 보여준다.

 

앞으로 스텔라의 거의 제로에 가까운 수수료와 사람들이 일상적인 금융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제품, 도구, 애플리케이션 생태계의 독특한 조합은 차세대 실물자산 채택을 위한 강력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다. 새로운 자산 클래스가 온라인화되고 파트너십이 심화됨에 따라 스텔라는 프로그래머블하고 글로벌하며 민주화된 금융의 허브가 되고자 하면서 이더리움 및 솔라나(Solana) 같은 실물자산 TVL 기준 다른 상위 체인과 경쟁할 준비가 되어 있다.


보고서에서 마음에 드셨던 점, 빠진 내용, 또는 기타 피드백이 있으시면 설문을 작성 부탁드립니다.

 

모든 응답은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서비스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

 

이 보고서는 스텔라 개발 재단(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의 의뢰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저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성되었으며, Messari Inc. 또는 보고서를 의뢰한 기관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뢰 기관이 보고서 내용에 일부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나, Messari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종 편집권을 보유합니다. 또한, 저자(들)는 이 보고서에서 언급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을 위한 문서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체적인 조사 및 독립적인 재무, 세무, 법률 전문가와의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과거 수익률은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의 서비스 이용약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 보고서의 일부 또는 전체는 다음과 같은 행위가 금지됩니다:
(a) 복사, 인쇄, 어떠한 방식으로든 형태를 변형하여 복제하는 행위
(b) Messari®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재배포하는 행위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47,948,429 (-0.03%)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4,839,040 (+0.53%)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43 (-0.04%)
XRP 로고 XRP (XRP)
3,290 (+1.56%)
BNB 로고 BNB (BNB)
1,364,007 (-0.72%)
Solana 로고 Solana (SOL)
227,388 (-0.24%)
USDC 로고 USDC (USDC)
1,443 (-0.01%)
TRON 로고 TRON (TRX)
413.3 (-0.09%)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32.9 (-1.69%)
Cardano 로고 Cardano (ADA)
766.0 (-1.24%)
왼쪽
2025 11월  6(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06 (목) ~ 2025.11.07 (금)

32명 참여

정답 78%

오답 22%

진행기간 2025.11.05 (수) ~ 2025.11.06 (목)

45명 참여

정답 71%

오답 29%

진행기간 2025.11.04 (화) ~ 2025.11.05 (수)

46명 참여

정답 89%

오답 11%

진행기간 2025.11.03 (월) ~ 2025.11.04 (화)

49명 참여

정답 51%

오답 49%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