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BTC, 15개월 채널 상단 돌파...목표가 $12만→$20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유명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X를 통해 "비트코인이 15개월 채널 상단을 돌파했다. 이번 강세장의 목표가를 12만 달러에서 20만 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강세장 사이클 종료 예상 시점은 2025년 8월~9월"이라고 전했다. 다만 BTC 가격이 지난주 저점인 50,500 달러를 하락 이탈하는 경우 강세장 관점은 무효화된다는 설명이다. 피터 브랜트는 X 이용자들에게 "BTC의 상승이 계속되길 바란다면 프로필 사진을 레이저 아이로 변경하지 말라. 레이저 아이 프로필이 많이 보인다면 시장이 고점에 도달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레이저 아이는 비트코인 상승을 바라는 소셜 미디어 캠페인이다.
앵커, 레이어2 네트워크 X1에 RPC 서비스 출시
앵커(ANKR)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OKX의 ZK 기반 레이어2 네트워크인 X1에 원격프로시저호출(RPC)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X1 퍼블릭·프리미엄 RPC를 이용할 수 있다고 앵커는 설명했다.
분석 “BTC 온체인 지표 주요 저항선 돌파...추가 상승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 맥디가(MAC-D)가 “BTC 현물 ETF를 통한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BTC 매수세가 더 강하게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치 못한 매크로 및 암호화폐 시장 이슈로 인해 가격이 폭락하더라도 BTC는 스프링처럼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주요 온체인 지표인 '실현가격-UTXO 연령대 밴드'(취득 후 이체가 발생하지 않은 비트코인 가격대와 보유 기간을 나타내는 지표)는 BTC 보유 기간별 매수 가격대를 보여준다. 현재는 2~3년 BTC 보유자 물량이 실현 상한액 비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23.8%)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매수가격은 48,900달러 수준으로, 다시 말해 강력한 저항선 중 하나다. BTC 가격이 이를 저항선을 돌파하고 55,000 달러까지 넘어서면서 마지막 남은 최대 저항선은 68,000 달러선"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수익 중인 BTC 주소 96% 도달 후 조정→본격 랠리 예상"
온체인 애널리스트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가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지난 1년 동안 이동(매수·매도)한 비트코인의 93%가 현재 수익 상태이며, 과거 이 구간이 96%에 근접했을 때 차익 실현 움직임과 조정 국면이 나타났다. 이후 시장은 다시 상승 랠리로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BTC가 과거 추세를 계속 따른다면, 수익 중인 주소 비율이 96%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 주소 비율이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에 나설 것이고, 올해 본격적인 랠리가 시작되기 전 가격이 조정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트릭스포트 "BTC·ETH, 올해 위험 자산 중 가장 수익률 좋다"
진써차이징에 따르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가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위험자산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은 30~36% 상승해 가장 좋은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어 "암호화폐의 이같은 수익률은 전통금융 투자자들의 포모(FOMO, 시장에서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공포감) 심리를 자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3.31% 오른 56,282.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피스네트워크 스테이킹 가치 $9.48억 기록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오라클 솔루션 피스네트워크(Pyth Network)에 스테이킹된 PYTH 토큰 개수가 12억개를 돌파했다. 현재 1,255,695,402 PYTH가 스테이킹 중이다. 총 스테이킹 가치는 9.48억 달러, 스테이킹 주소 수는 19만개 이상이다.
업비트·빗썸·코인원, 3/12 15시 SSX 상장 폐지
업비트·빗썸·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3월 12일 15시 썸씽(SSX)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유가랩스 설립자 "매직에덴 ETH 마켓 출시 기념 NFT 로열티 인하"
유가랩스(Yuga Labs) 공동 설립자 그렉 솔라노(Greg Solano)가 X를 통해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agicEden)의 이더리움 마켓플레이스 출시를 기념해 69일 동안 크리에이터 로열티가 적용되는 NFT 컬렉션의 로열티를 2.5%로, 레거시 NFT 컬렉션의 로열티를 1%로 인하한다"고 전했다. 매직에덴은 28일 3시(한국시간) 이더리움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엘살바도르 BTC 미실현 수익 500억원대
나이브트래커(Nayibtracker) 데이터에 따르면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 투자로 3,791만 달러(약 504억원)의 미실현 수익을 기록 중이다. 엘살바도르는 총 2,847 BTC(1.58억 달러 상당)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수 평단가는 약 42,495 달러다. 한편 마이크로스트래티지(평단가 51,813 달러·193,000 BTC 보유)의 미실현 수익은 46.5억 달러(약 6.2조원) 상당이다.
블룸버그 "BTC, 중장기 모멘텀 긍정적...큰 하락 없을 것"
블룸버그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비트코인 가격이 2021년 말 이후 처음으로 57,000 달러를 회복했으며, BTC 현물 ETF 자산 순유입과 반감기 등 내러티브로 낙관적인 심리가 우세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BTC 현물 ETF에는 누적 56억 달러가 순유입됐으며,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26일(현지시간) 3,000 BTC를 추가 매수했다는 소식 등이 긍정적이었다는 분석이다. 암호화폐 기술분석 업체 페어리드 스트래티지스(Fairlead Strategies) 설립자 케이티 스톡튼(Katie Stockton)은 최근 투자자 메모에서 "비트코인은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모멘텀을 보이고 있으며 큰 하락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펀드스트랫(Fundstrat) 디지털 자산 전략 책임자 신 파렐(Sean Farrell)도 "고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강세 모멘텀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크립토퀀트 대표 "새로운 고래 주소들, BTC 매집 중...미실현 수익 38%"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X를 통해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새로운 고래 주소들이 비트코인을 매집하고 있다. 최근 30일간 온체인 트랜잭션을 남긴 고래들의 BTC 실현 가격(Realized Price·온체인 취득가)은 40,500 달러이며, 해당 주소들은 현재 약 38%의 미실현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약세론자(Bears)들은 온체인 데이터에 집중하지 않는 것 같다. BTC 현물 ETF 자산 유입은 기본적으로 온체인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는 "BTC 현물 ETF들은 26일(현지시간) 최소 4.3억 달러 이상의 BTC를 매입했다"고 전한 바 있다.
외신 "BTC 무기한 선물 연환산 펀딩비 100% 상회...시세 급등 영향"
코인데스크가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인용해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계약의 연간 펀딩 비율(펀딩비)이 1년 만에 100%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펀딩 비율은 만기가 없는 무기한 선물에서 선물·현물 가격 균형을 위해 도입된 장치로, 양수인 경우 매수(롱) 포지션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번 펀딩 비율 상승은 강세장을 전망하며 롱 포지션에 진입한 트레이더가 많아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매트릭스포트의 리서치 총괄이자 10X리서치 설립자 마르쿠스 틸렌(Markus Thielen)은 "무기한 선물 시장 펀딩 비율 급등으로 선물·현물 간 차익을 얻으려는 차익거래자(arbitrageurs)들이 수익을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분석 "BTC 옵션 내재변동성 확대...현물 보유자 가격 헷지 움직임"
암호화폐 옵션 전문 분석 업체 그릭스닷라이브(Greeks.live)의 매크로 연구원 애덤이 X를 통해 "비트코인이 상승하면서 단기 옵션 내재변동성(IV)이 뚜렷하게 확대됐다. 오늘 500만 달러 이상의 대규모 블록딜 주문이 50건 이상 들어왔으며, 이 중 가장 큰 주문은 풋옵션(약세 베팅) 매수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움직임은 현물 중심의 강세장에서 현물 보유자가 가격 헷지를 위해 풋옵션을 매수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태껏 사례가 많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2.28% 오른 55,710.2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템코, 올 1Q 비주얼 데이터 AI 프레임워크 설계 착수
쟁글에 따르면 카카오 클레이튼 기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템코(TEMCO)가 2024년 로드맵을 공개하고 올 1분기 비주얼 데이터 인공지능(AI) 프레임워크 모델 설계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템코는 "서플라이 체인에 들어오는 상품 정보에서 시가가 데이터를 추출해 AI 모델 및 프레임워크 설계 및 개발에 들어간다. 올 2~3분기에는 해당 모델 정확도를 높이고 베타 테스트에 들어갈 계획이다. 아울러 4분기에는 모델 최적화 및 알파 테스트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텐센트·공상은행, 자체 개발 블록체인 기술 특허 출원
외신에 따르면, 중국 최대 IT 기업 텐센트와 4대 국유은행 중 하나인 공상은행(ICBC)이 국가지식산권국(중국 특허청)에 자체 개발 블록체인 기술의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텐센트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 패키징 솔루션, 장치, 설비, 보관 매개, 소프트웨어 상품'을, 공상은행은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관리 솔루션, 장치, 시스템 및 설비'를 출원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최초 신청일은 모두 2023년 10월로 나타났다.
지난 24시간 BTC 파생상품 거래량 272%↑
지난 24시간 BTC 파생상품 거래량 272%↑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BTC 파생상품 거래량이 272.06% 증가한 866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시간 BTC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는 5.64% 늘어난 247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데이터 "모든 거래소 BTC/USDT 무기한 선물 펀딩비 양수 전환...롱 우세"
블록체인 분석업체 0x스코프(0xScope)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모든 중앙화 거래소 내 BTC/USDT 무기한 선물 펀딩비가 양수로 전환되고 있다. 롱(공매수) 트레이더가 우위를 점하는 시장"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0x스코프 측은 "지난 24시간 3.67억 달러 규모의 BTC 선물 포지션이 청산됐으며, 그중 2.7억 달러는 숏 포지션"이라고 덧붙였다.
수이, 두바이 AIBC 유라시아 어워드 올해의 블록체인 선정
크립토 슬레이트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두바이에서 열린 제2회 AIBC 유라시아 어워드에서 2024 올해의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선정됐다. 2024 어워드의 다른 후보로는 니어 프로토콜과 1인치 네트워크가 있었다.
분석 "BTC 숏 포지션 청산 흐름...가격 정점 아직"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의 수석 분석가 체크메이트(@_Checkmatey_)가 X를 통해 "지난 2021년과 최근 BTC 랠리 간에는 차이가 있다. 이번에는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숏(공매도) 포지션이 대거 청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적으로 강세장 정점에서는 오히려 롱 포지션이 다수 청산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中 웨이보 인기 검색어 순위 11위
27일 BTC가 급등 추세를 나타내며 연고점을 경신한 가운데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플랫폼 웨이보 인기 검색어 순위 11위에 올랐다. 중국은 지난 2021년 9월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한 바 있다.
디뱅크 고래 주소, 렌조 프로토콜에 5300 ETH 스테이킹
블록체인 분석업체 0x스코프(0xScope)가 X를 통해 "탈중앙화 금융(DeFi) 월렛 및 데이터 플랫폼 디뱅크(Debank)의 한 고래 주소가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렌조(Renzo)에 5,300 ETH(1,600만 달러)를 스테이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아울러 렌조의 총 락업예치금(TVL) 규모는 5억 7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서클, 일본 USDC 사용 확대 추진...코인체크와 파트너십
USDC 발행사 서클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일본 내 USDC 사용성을 확대하고 일본 암호화폐 시장과 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TC 선물·옵션 미결제약정 전달 대비 급증..."상승 베팅↑"
크립토슬레이트가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인용해 "올 2월 비트코인 선물 및 옵션 미결제 약정이 각각 248.7억 달러, 175.9억 달러로 전달 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전했다. 강세장에서의 미결제 약정 증가는 신규 자금의 가격 상승 베팅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크립토슬레이트는 "26일(현지시간) 기준 전체 옵션 미결제 약정 중 풋옵션(약세 베팅)은 36.24%였지만 콜옵션은 63.76%로 나타났다. 미결제 약정에서 나타난 높은 콜옵션 비중은 시장의 강세 전망이 우세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BTC 커뮤니티 "무분별한 사토시 추측 및 인물 특정 경계해야"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 관련 새로운 정보가 속속 등장하며 커뮤니티 내에서 "무분별한 사토시 추측과 인물을 특정하는 행위를 경계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관련 비트코인 결제 앱 스트라이크(Strike) 설립자 잭 말러스(Jack Mallers)는 "사토시가 누구인지에 대한 추측을 그만둬야 한다. 특히 2014년에 사망한 비트코인 초기 기여자 할 피니(Hal Finney)를 사토시로 특정하는 것은 그의 가족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사토시는 익명성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며 이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자칭 '사토시' 크레이그 라이트 관련 소송에서 아담 백(Adam Back), 마티 말미(Martii Malmi) 등 비트코인 초기 기여자들과 사토시가 주고받은 이메일 내용이 공개된 바 있다. 이에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암하인벤처스(Cinneamhain Ventures)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은 "할 피니는 비트코인 창시자 배후에 있는 주요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USDC, 작년 12월 이후 USDT 성장세 추월"
코인베이스가 26일(현지시간)자 보고서에서 "USDC 발행량은 작년 12월 1일 이후 35억 달러(14.3%) 이상 증가해 USDT(28억·8.7% 증가)의 성장세를 넘어섰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USDC 기반 거래량은 전 세계 중앙화 거래소(CEX) 거래량의 4% 수준으로 아직 낮지만 이는 2023년 초 대비 5배 증가한 수준이다. 바이낸스가 BUSD 지원을 중단한 뒤 시총 기준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의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상승했다. USDC는 비 미국 지역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며 유동성이 개선되기 시작했고, USDC의 온체인 거래량도 증가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시총·유동성 증가세는 올해 남은 기간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USDC 시총은 285.3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퀀텀 "향후 수개월 내 AI 서비스 다수 제공 예정"
퀀텀(QTUM) 설립자 패트릭 다이(Patrick Dai)가 X를 통해 "퀀텀은 향후 수개월 내에 많은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탈중앙화 GPU 네트워크(1,000개 이상 그래픽 카드 제공 예정)와 오픈소스 LLM(large-language model) 및 다수 AI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QTUM은 3.65% 오른 3.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크인베스트먼트, 전날 $685만 규모 코인베이스 주식 매도
아크데일리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인베스트먼트가 전날 코인베이스 주식 35,509주를 매도했다. 이는 26일 종가 기준(193달러) 685만 달러 규모다.
블래스트 TVL $21억 돌파..."에어드랍 대비 영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러(BLUR) 주도 레이어2 네트워크 블래스트(Blast)의 총 락업예치금(TVL) 규모가 21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프로토콜 출시일(지난해 11/22, 메인넷 출시는 2/29 예정) 대비 2,200% 이상 늘어난 수치다. 미디어는 "이는 오는 5월로 예정된 블래스트 토큰 에어드랍을 준비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PICA 사기 기소’ 이희진, '업비트 업무방해' 추가기소
디지털애셋에 따르면 PICA(피카) 사기 혐의로 기소된 이희진씨가 업비트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추가기소됐다. 서울남부지검은 “이희진, 희문씨를 지난 2월 26일 업무방해 혐의로 불구속기소했다. 이들은 2020년 12월 PICA를 업비트에 상장하는 과정에서 유통계획, 운영자 등에 관한 허위자료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거래소의 상장심사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 전문가 "현물 ETF 승인 시 ETH 사상 최고가 예상"
이더리움(ETH) 트랜잭션 수수료 추적 플랫폼 더데일리그웨이(The Daily Gwei) 설립자 사쌀(sassal)이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오는 5월 23일 ETH 현물 ETF가 승인되면 ETH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탈중앙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에서 ETH 현물 ETF의 5월 승인 예상 확률은 41%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