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AI 거품일까 진화일까… 저커버그·MS·구글 '기대 vs 현실' 격돌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AI 상용화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투자 거품 경고와 함께 인프라 비용, 과잉 마케팅 문제가 제기됐다. 메타, 구글 등 빅테크는 수백조 원을 투입 중이며, AI의 현실 가치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AI 거품일까 진화일까… 저커버그·MS·구글 '기대 vs 현실' 격돌 / TokenPost Ai

AI 산업이 본격적인 상용 단계에 접어들면서 과잉 기대와 현실의 간극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메타(META) CEO는 최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스트라이프 세션 행사에서 “AI가 과연 거품인지, 아니면 곧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기술인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설령 지금이 투자 거품의 시기라 해도 시장 자체가 무너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인프라 구축 과정이 *매우* 비쌀 것”이라고 지적해 업계 전반의 비용 상승 문제를 강조했다.

실제로 기술 대기업들이 쏟아붓는 AI 인프라 투자 규모는 상상을 초월한다. 구글(GOOGL)은 올해에만 750억 달러(약 108조 원)를 시설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며, 메타, 아마존(AMZN), 마이크로소프트(MSFT)를 포함한 4개 빅테크의 전체 투자액은 3,200억 달러(약 460조 원)에 이른다. 이에 대해 피터 리(Peter Lee)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사장은 “아직 'AI의 본질적 가치'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전기조차 사용되지 않던 시대에 통신망 설치를 강행한 격이라고 비판했다.

AI 기술의 ‘과잉 마케팅’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아카마이 CTO 로버트 블루모페(Robert Blumofe)는 한 행사에서 “지금 보여지는 AI 성과는 대부분 실제보다 포장된 쇼에 가깝다”며 “대중은 기술을 마치 마술처럼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는 진짜 변화를 이루기 어려운 구조를 낳는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AI 산업이 현실 검증 없이 전시 효과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AI의 미래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시각이 많다. 피터 리는 AI가 과학 연구에 미칠 영향에 주목한다. 그는 튜버클로시스 치료 후보 물질을 발굴한 오픈소스 기반의 화학언어 모델 ‘탐젠(TamGen)’ 사례를 들며, “AI가 인간 언어뿐만 아니라 자연의 언어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내놓았다.

한편 저커버그는 AI가 메타의 메시징 사업 전환에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왓츠앱을 고객 서비스 및 세일즈 플랫폼으로 확장시키는 데 AI를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그는 “앞으로 모든 기업은 다양한 메시징 플랫폼에서 AI 상담사를 운영하게 될 것”이라며, 왓츠앱을 메타의 다음 수익 축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대규모 언어모델(LLM)에 치우친 업계 흐름에 대해서도 이견이 제기됐다. 블루모페는 “실제로 기업 가치를 창출하는 AI는 대부분 잘 알려지지 않은 소형 모델”이라며, 특정 기술만 만능처럼 과신하는 태도를 경계했다.

구글 클라우드의 스콧 펜버디는 기술의 속도 자체를 우려한다. 그는 “AI는 지금 너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말하며, 전문가조차 따라가기 어려운 변화 속도에 인간 사회가 적응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제 우리 모두가 학습자일 뿐, 진정한 AI 전문가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AI 시대의 도래는 분명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그 여정에서 ‘기대’와 ‘현실’을 정교하게 조율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업계 리더들은 기술보다 커진 환상을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다시 묻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