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울산, AI 산업 대전환 시동…7조 원 데이터센터 유치로 본격 행보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울산시가 7조 원 규모 AI 데이터센터 유치와 함께 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시키며 민관 협력 중심의 AI 산업 육성에 본격 나섰다.

 울산, AI 산업 대전환 시동…7조 원 데이터센터 유치로 본격 행보 / 연합뉴스

울산, AI 산업 대전환 시동…7조 원 데이터센터 유치로 본격 행보 / 연합뉴스

울산시가 본격적으로 인공지능 산업 육성에 나서며, 민관 협력 중심의 정책 추진 체계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산업 전략과 법 시행에 발맞춰 지역 맞춤형 산업 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울산시는 8월 1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울산 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과 첫 회의를 열고, 제조·에너지·정보통신·교육 등 주요 산업 분야의 전문가 20명을 중심으로 민관 협력 기반의 인공지능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향후 울산형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 전략 제안의 중심 역할을 맡게 된다.

특히 이번 출범은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기본법과 우리나라 전체적인 국가 정책 방향에 발맞춰 이뤄졌다. 인공지능기본법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촉진하면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초의 법률로, 기업과 정부 기관이 인공지능 관련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법적 기반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인공지능 인재 양성 체계 고도화, 산업별 기술 확산, 데이터센터 중심 산업 육성 등의 과제를 집중 논의하고 있다.

울산 인공지능위원회의 활동은 단순한 자문을 넘어, 향후 정책 현실화와 실행 점검, 신규 산업 과제 발굴까지 포괄한다. 울산시는 위원회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관련 토론회, 학술대회, 기업 유치 설명회 등의 후속 행사를 연이어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다가오는 ‘인공지능 수도 울산’ 선포 행사를 통해 도시의 브랜드와 비전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 추진의 배경에는 지난 6월 울산시가 SK텔레콤과 아마존웹서비스가 공동 투자한 총 7조 원 규모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를 유치한 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데이터센터는 2025년 8월부터 착공할 예정이며, 2027년에는 1단계로 41메가와트(㎿) 규모 운영을 시작해, 2029년까지 총 103㎿에 이르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시설로 완공될 계획이다. 해당 시설은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대규모 인공지능 전용 처리 역량을 갖춘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산업과 인재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이처럼 울산시가 제조업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해 지역 산업 구조를 재편하려는 시도는 향후 지역 경제 전반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 활동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된다면, 울산은 ‘전통 산업의 도시’에서 ‘첨단 기술의 거점’으로 입지를 바꾸는 전환점에 서게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lowpoke82

12:07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