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MS, 자체 AI 모델 'MAI-1' 공개…오픈AI와 독립 본격화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마이크로소프트가 독자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 'MAI-1-프리뷰'를 공개하며 오픈AI 의존도 줄이기에 나섰다. 음성 생성 모델도 함께 공개하며 AI 생태계 확대에 속도 내는 모습이다.

 MS, 자체 AI 모델 'MAI-1' 공개…오픈AI와 독립 본격화 / 연합뉴스

MS, 자체 AI 모델 'MAI-1' 공개…오픈AI와 독립 본격화 / 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의 시험 운용을 시작하면서, 오픈AI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8월 28일(현지시간), 텍스트 기반의 새 AI 모델 ‘MAI-1-프리뷰’를 외부에 공개하며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모델은 마이크로소프트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기획부터 훈련까지 진행한 첫 번째 기초 모델(파운데이션 모델)로, 자사의 기존 AI 서비스인 ‘코파일럿’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모델 개발에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 H100 칩 약 1만5천 개가 사용됐다.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언어 모델을 바탕으로 자사 클라우드와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AI 기능을 접목해 왔다. 실제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 130억 달러(한화 약 17조 원) 이상을 투자해 최대 규모의 지원사로 자리해왔으며, 오픈AI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인프라 ‘애저(Azure)’를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을 해왔다. 하지만 오픈AI와의 긴밀한 협업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양 사는 경쟁자로서의 성격을 점점 더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연례 보고서에서 공식적인 경쟁사 명단에 오픈AI를 포함시켰으며, 오픈AI 역시 아마존, 오라클, 구글 등 다양한 클라우드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며 독자 노선을 강화하는 중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자체 AI 개발은 단순한 기술 확보를 넘어 전략적 독립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이번에 공개된 ‘MAI-1-프리뷰’는 상대적으로 적은 연산 자원을 활용하면서도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확보한 기술 요소와 내부 역량을 결합해 효율성과 확장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몇 주 안에 이 모델을 자사의 텍스트 서비스 적용 사례에 반영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음성 생성 AI 모델인 ‘MAI-Voice-1’도 공개했다. 이 모델은 1초 이내에 1분 분량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AI 기반 음성 비서나 자동 통화 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글로벌 AI 시장이 ‘대형 언어 모델 독점’ 구도에서 점차 다양성과 기술 분산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 모델을 어느 수준까지 상용화할 수 있을지, 또 오픈AI와의 관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1mini

15:10

등급

위당당

14:40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8.29 15:10:55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