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엔비디아, 67조 실적에도 'ASIC 쇼크'…AI 반도체 전쟁 돌입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엔비디아는 2분기 67조 원 매출을 기록했지만, 구글과 브로드컴 등의 ASIC 위협이 커지며 성장 둔화 우려가 제기된다. CEO 젠슨 황은 맞춤형 AI 생태계 전략을 강조하며 방어에 나섰다.

 엔비디아, 67조 실적에도 'ASIC 쇼크'…AI 반도체 전쟁 돌입 / TokenPost.ai

엔비디아, 67조 실적에도 'ASIC 쇼크'…AI 반도체 전쟁 돌입 / TokenPost.ai

엔비디아(NVDA)가 발표한 2026년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 매출 467억 달러(약 67조 2,000억 원)를 기록하며 다시 한 번 시장의 기대를 웃돌았다. 데이터센터 부문만 해도 411억 달러(약 59조 1,000억 원)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고, 3분기에는 매출 540억 달러(약 77조 7,000억 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 같은 호실적 뒤에는 AI 추론 시장에서 구체화되는 ASIC(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회로) 기반의 새로운 위협이 어른거리고 있다.

최근 브로드컴(AVGO), 구글(GOOGL), 아마존(AMZN) 등 AI 인프라 강자인 하이퍼스케일 기업들이 고성능에 비용 효율성까지 갖춘 자체 ASIC을 대거 개발·도입하면서, 전통적 GPU 중심 구조를 지탱해온 엔비디아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브로드컴은 내년 AI 수익이 최대 60% 증가하며 200억 달러(약 28조 8,000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구글은 TPU v6, 메타는 MTIA,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프로젝트 마이아를 기반으로 맞춤형 AI 워크로드 확산을 가속화하는 중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일이며, 대부분의 ASIC 프로젝트는 실제 생산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춘추전국 시대처럼 조각난 시장 구조 속에서, 고객들은 GPU보다 저렴하고 특정 기능에 최적화된 ASIC 기반 솔루션에 눈을 돌리고 있고, 경쟁사들은 이러한 니즈를 전략적으로 파고들고 있다.

실제 성능 및 에너지 효율 면에서 엔비디아 신규 아키텍처 ‘블랙웰(Blackwell)’은 여전히 견고하지만, 경쟁사들은 ‘성능 대비 비용’, 즉 전력당 효율과 환경 지속 가능성을 핵심적인 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브로드컴과 구글은 자사 솔루션이 GPU 대비 2~4배 이상 우수한 가성비를 제공한다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처럼 경쟁 구도가 치열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은 단순 GPU 성능이 아닌, 전체 AI 인프라 아키텍처와 생태계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본질적인 차별화를 주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황 CEO는 "우리는 GPU만 파는 회사가 아니다. 데이터센터 예산의 35%는 엔비디아가 차지하고 있고, NVLink와 같은 맞춤형 네트워킹 기술은 GPU를 넘어선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 구성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성장 속도는 불가피하게 둔화되기 시작했다. 2분기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56%로 떨어지면서, 수 년간 유지해온 세 자릿수 증가세에는 제동이 걸렸다. 여기에 미·중 기술 갈등 속에서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한 자릿수로 하락한 것도 뼈아픈 변수다. 회계상 중국 내 H20 GPU 출하가 3분기 가이던스에서 아예 제외된 것도 시장에 일종의 정치 리스크 프리미엄이 반영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중국은 전 세계 AI 연구 인력의 절반이 몰려 있는 거대한 시장이다. 황 CEO 역시 "AI 연구자 절반이 중국에 있다"며 시장 잠재력을 재차 어필했지만, 증시에선 상충되는 메시지로 받아들였다. 이날 애널리스트들은 중국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경우, 엔비디아의 전략적 성장 프레임워크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기술적 진보마저 비용과 복잡성이라는 새로운 장벽에 봉착하고 있다. 하이퍼스케일러들이 차세대 빌드아웃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며, 향후 AI 데이터센터는 전력 효율, 효율적인 추론 아키텍처, 지속 가능한 설계를 토대로 ‘ROI 최적화’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소비 전력 대비 성능이라는 양면 지표에서 ASIC이 점점 설 자리를 넓히는 배경이기도 하다.

엔비디아는 3분기 가이던스로 540억 달러에 이르는 매출을 예고하며 여전히 견고한 기본 체력을 과시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루빈(Rubin) 아키텍처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어 기술 리더십 유지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나 ASIC 업체들의 도전이 단순한 ‘칩 경쟁’을 넘어 '생태계 주도권 쟁탈전'으로 확장되고 있는 점은, 엔비디아가 이제껏 겪어보지 못한 유형의 전면전이다.

황 CEO는 이날 실적 발표를 마무리하며 "AI 산업혁명이 시작됐고, 본격적인 경쟁의 시대에 돌입했다"고 선언했다. 2년 전만 해도 경쟁자로 여기지 않았던 브로드컴, 아마존, 구글 등이 대규모 출하에 돌입하며 성과를 내는 지금, AI 반도체 생태계는 완전히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과연 엔비디아의 플랫폼 우위가 ASIC의 경제성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다음 분기부터가 진짜 시험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