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데이터를 분석하고 통찰로 전환해주는 AI 기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플랫폼 아이블(Aible)이 ‘AI 퍼스트(AI First)’ 전략을 통해 차세대 정보 모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의 챗봇 중심 AI가 겪고 있는 ‘환각 현상(hallucination)’ 문제를 극복하고, 기업의 전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결정론적(Deterministic) 분석을 강점으로 내세우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열린 ‘SHI 가을 서밋 2025’ 행사에서 아이블의 마케팅 책임자 비자이 아난드(Vijay Anand)는 “AI가 실제로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히 찾아내야 한다”며, “아이블의 AI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질문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확정적인 답을 도출한다”고 강조했다.
아이블의 핵심 기술은 기업 고유의 용어와 업무 흐름에 맞춰 맞춤형으로 학습된 정보 모델이다. 예컨대 통신 산업에서 ‘지터(jitter)’라는 기술 용어처럼 산업마다 특화된 지식을 학습시켜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업 간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이고, AI의 해석 정확도는 극대화된다.
비자이 아난드는 “아이블이 적용하는 철칙은 ‘블루는 진실(blue is true)’이다. 분석 결과 중 파란색으로 강조된 항목은 사실로 검증된 데이터이며, 그렇지 않은 항목은 사용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명확히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다.
특히 고객의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되지 않는다는 점은 기업의 데이터 거버넌스 문제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아이블은 클라우드 또는 엣지 환경에서도 분석 작업을 오롯이 고객 환경 내에서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아난드는 “데이터 보안과 프라이버시, 거버넌스 요구가 높은 기업일수록 아이블의 데이터 비이동 분석 방식에 높은 신뢰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블은 현재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ewlett Packard Enterprise)의 AI 혁신 프로그램 'Unleash AI'의 주요 멤버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AI 퍼스트 전략은 향후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기준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AI가 단순 분석을 넘어 실제 의사결정 주체로 진화하는 시대, 아이블의 사례가 새로운 산업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