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입법 소셜미디어 플랫폼 ‘라텔(Ratel)’이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들의 디지털자산 및 블록체인 관련 공약을 비교하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선보였다.
이 기능은 단순한 후보 지지 여부를 넘어 정책 그 자체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집해, 향후 데이터 기반의 입법 방향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라텔은 이를 통해 인물 중심의 인기 투표가 아닌, 정책 우선순위와 사회적 기대치가 반영되는 참여형 정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각 후보의 디지털자산 관련 공약을 손쉽게 비교하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블록체인에 기록돼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바이야드는 이러한 구조를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여론의 흐름을 기록하고, 향후 입법 과정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라텔을 개발한 스타트업 바이야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반복되는 정치적 무책임과 선심성 공약에 대한 구조적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초기 발표됐던 ICO 허용,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 디지털자산 감독기구 신설 등의 공약이 실제로는 지켜지지 않았던 사례처럼, 매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실망을 기술로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바이야드 측은 "정책은 인물이 아니라 실체로 평가받아야 하며, 민의는 감정이 아닌 데이터로 표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텔은 기술, 투자, 개발, 소비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책을 바라보는 다층적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다수의 의견이 왜곡되거나 특정 집단에 의해 과대표되는 현상을 방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자산이나 인공지능처럼 기술 이해도가 중요한 정책 영역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입법 수요가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박혜진 바이야드 대표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좋은 정치인’이 아니라 ‘좋은 정책과 그 정책을 가능하게 한 구조가 살아남는 것’”이라며, “블록체인과 AI가 접목된 참여형 입법 환경은 숙의성과 민주성,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라텔은 향후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입법 소셜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고, 참여와 후원을 통해 보다 높은 발언권(Voting Power)을 부여받거나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거버넌스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후 여론조사 및 공론조사 기능을 포함한 정식 서비스를 통해 공공기관, 기업, 유권자가 함께 참여하는 탈중앙 디지털 거버넌스 플랫폼으로 확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