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거래 5% 처리 전망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5

볼티지 CEO는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5%를 처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GENIUS 법안 등 규제 도입이 확산의 촉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거래 5% 처리 전망 / TokenPost.ai

라이트닝 네트워크,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거래 5% 처리 전망 / TokenPost.ai

비트코인의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인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가 향후 수년 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의 급증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업계 전문가들은 소매 및 기관 투자자의 수요 증가가 이 같은 확산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고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볼티지(Voltage)의 창업자이자 CEO인 그레이엄 크리젝(Graham Krizek)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2028년까지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의 5%를 처리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의 일일 거래량은 약 1,800억 달러(약 250조 2,000억 원)에 달하며, 이 수치를 기준으로 할 때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한 거래는 최대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에 이를 수 있다. 이 같은 거래 증가세는 미국과 전 세계적으로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이 본격 도입되면서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앞둔 GENIUS 법안이 그 신호탄이다.

크리젝은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최고의 스케일링 도구”라며, 스테이블코인을 매개로 한 거래 급증이 전체 네트워크 채택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는 라이트닝 네트워크상에서의 스테이블코인 활동이 거의 없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테더나 서클 같은 주요 발행사들이 아직 본격적으로 라이트닝에 진입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거래 비중이 급격히 높아질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시장은 이미 움직이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는 지난 1월, 테더(USDT)를 비트코인 생태계 내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6월에는 라이트닝랩스(Lightning Labs)가 Taproot Assets 0.6 버전을 출시하면서 라이트닝을 통해 비트코인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위한 탈중앙화 외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시작했다.

테더 CEO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 역시 “블록체인의 글로벌 상태 공유 방식은 확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피어 투 피어 기반의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대규모 스테이블코인 결제에 가장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4월 한 인터뷰에서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의 USDT는 대규모 거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완벽한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산업의 눈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이 흐름의 중심에서 차세대 결제 인프라 역할을 본격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0:34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7.25 17:19: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25 17:08: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