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상장사 3곳이 전체 비트코인(BTC) 유통량의 약 4%에 달하는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집중 현상이 비트코인 가격 안정성과 시장 구조에 양면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갤럭시디지털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상장사(DATCO)의 암호화폐 총 보유액은 현재 1,000억 달러(약 139조 원)을 초과했다. 이들 가운데 ‘스트래티지’가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일본의 메타플래닛과 미국의 샤프링크 게이밍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해당 기업들이 보유한 규모는 79만 1,662 BTC와 131만 3,318 ETH로, 이는 비트코인 전체 유통량의 3.98%, 이더리움(ETH)의 1.09%를 차지한다. 이 중 스트래티지가 보유한 BTC 가치는 총 718억 달러(약 99조 8,020억 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280억 달러(약 38조 9,200억 원)는 미실현 수익이다. 업계에서는 초기 매수 시점과 공격적인 매입 전략이 높아진 자산 가치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넘어, 각 DATCO들은 솔라나(SOL), XRP, 바이낸스코인(BNB), 하이퍼리퀴드(HYPE) 등의 기타 디지털 자산으로도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 중심 기업들은 스테이킹 및 탈중앙금융(DeFi) 전략을 활용해 비희석 수익을 창출하고 있어, 단순 보유 전략에 비해 수익성이 한층 높다.
DATCO들은 주식 상장을 기반으로 유연한 자본조달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제도권 상장지수펀드(ETF)보다 운영의 유연성이 뛰어나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유도할 수 있다.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이 여전히 주도적이나, 최근 들어 각국 기업들도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갤럭시는 지역 자본시장 환경이 이러한 추세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빠른 성장세만큼이나 잠재적 리스크도 함께 커지고 있다. 특히 문제로 지적된 것은 DATCO 주가와 비트코인 가격 간에 생긴 ‘반사적 관계’다. 투자자들이 DATCO에 자금을 투입하면, 해당 기업들은 더 많은 BTC를 매수하게 되고 이는 다시 주가를 끌어올리는 순환 구조가 형성된다.
이 구조는 강세장에선 강력한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지만, 거시 경제가 위축 국면으로 전환될 경우 가격 하락을 가속화할 수 있는 ‘역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특히 비트코인이 최근 기존 주식시장과 점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 우려를 키운다.
갤럭시는 이러한 흐름이 “어쩌면 피할 수 없는 방향일 수 있다”며, DATCO의 등장이 기관투자자 입장에서 비트코인을 더 쉽게 접근 가능한 자산으로 만들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비트코인이 원래 지녀야 할 ‘비상관 자산’의 속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