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코인베이스, '베이스(BASE)' 토큰으로 주주가치 강화 나선다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코인베이스는 신규 토큰 '베이스(BASE)'를 단순한 보상 수단이 아닌 장기 주주가치 증대 전략의 일환으로 설계하고 있다고 분석됐다.

 코인베이스, '베이스(BASE)' 토큰으로 주주가치 강화 나선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가 준비 중인 자체 토큰 ‘베이스(BASE)’ 출시 계획이 단순한 에어드롭 그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업계에서는 이번 토큰 발행이 투자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전략적 기업 수단으로 설계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암호화폐 투자 분석사 메사리의 리서처 AJC는 “처음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이 직접 주도하는 토큰 생성 이벤트(TGE)라는 점에서, 베이스의 토큰 구조는 기존과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당 구조는 단순한 지분 배분이나 유동성 공급을 넘어, 결국은 주주가치 제고라는 목표에 맞춰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통 TGE나 초기 에어드롭은 벤처 투자자나 프로젝트 팀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종종 단기적인 시세 상승과 거래소 상장을 위한 이벤트로 활용되지만, 장기적인 생태계 성장은 뒷전으로 밀리기 십상이다. 그러나 베이스는 이런 통념을 깨려 한다. AJC는 "베이스의 배포는 초기 이용자 보상이나 투기적 수요 자극이 아닌, 코인베이스의 전체 주식을 더 가치 있게 만들기 위한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에어드롭이 주로 이용자 보상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코인베이스는 이번 베이스 토큰을 기업 지분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수단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토큰 설계 역시 주주뿐 아니라 생태계 참여자 모두의 가치를 균형 있게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난도가 높다.

AJC는 “코인베이스의 장기 가치를 높이면서 동시에 소비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유의미한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분배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TVL(총 예치금), 거래량 등 통상적인 온체인 지표는 오히려 후순위가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용자 참여와 자발적 네트워크 성장을 더 가치 있게 평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베이스는 현재 많은 레이어2 프로젝트보다 토큰 출시 수, 사용량 등에서 강세를 보인다. 그러나 AJC는 “관건은 소셜 기능과 소비자 경험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생태계를 설계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콘텐츠 생산자 대상 코인, 사용자 중심 앱, 커뮤니티 주도형 프로젝트 같은 비투기적 성장 촉진 구조가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접근은 전통적 TGE의 사고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AJC는 “토큰 이벤트나 에어드롭 설계에서는 주주 중심의 역학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곧 투자 포지셔닝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의 베이스 프로젝트는 단순한 토큰 출시를 넘어, 기업 가치와 사용자 생태계 간의 융합 모델을 시도하는 대담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번 베이스 에어드롭이 기존의 보상 구조를 뛰어넘어 기업 전략의 연장선에서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2:48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