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거래소 BTC 보유량, 1년간 30~50% 감소]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기반 중앙화 거래소(CEX)의 준비금이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미국 외 기반을 둔 CEX의 비트코인(BTC) 보유량은 1년 동안 1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제미니, 크라켄 등 미국 기반 거래소들의 BTC 보유량은 1년 동안 30~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립토퀀트는 "기관은 지속적으로 BTC를 매수하고 있다. 8월에만 전체 출금액의 25%에 해당하는 2.7만 BTC가 제미니에서 출금됐으며 이는 다른 세 주소(1QB, 1Et, 35g로 시작)로 입금됐다. 파생상품 거래량도 크게 늘어나 BTC 미결제 약정 규모는 2022년 11월 이후 최대치(ATH)를 기록 중"이라고 설명했다.
[라오스전력공사, 암호화폐 채굴 기업에 전력 공급 중단]
라오스전력공사가 암호화폐 채굴 기업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기로 했다고 비트코인닷컴이 전했다. 이는 올 여름 전례 없는 폭염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한 데다 채굴 기업의 채무불이행이 심각한 영향이다. 언제 공급 재개될지는 미지수다. 2021년 9월 라오스는 6개 암호화폐 채굴 기업에 사업 승인을 한 바 있다.
[프렌드테크 거래량 급감..애널리스트 "반짝 인기 끝"]
출시 직후 인기를 끌던 베이스(Base) 기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프렌드테크(Friend.tech)의 초반 기세가 크게 꺾였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프렌드테크는 출시 초기 빠르게 가입자를 늘렸지만 일주일 만에 거래량과 거래 수수료가 모두 급감했다. 지난 21일 거래량이 52만2000건, 거래 수수료가 17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27일엔 5만1000건, 21만 달러로 줄었다. 이에 대해 다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는 "프렌드테크는 끝났다"고 분석했다.
[ETH 초기 투자자, 주말 2,720 ETH 매도..DAI 스테이킹 목적]
스팟온체인에 따르면 8년간 사실상 휴면 상태였던 이더리움(ETH) 초기 투자자 주소(0x562로 시작)가 지난 2일 동안 2,720 ETH를 449만 DAI에 매도했다. 이후 이 주소는 메이커다오에 449만 DAI를 스테이킹했다(APR 연 5%). 스팟온체인은 "해당 주소는 8년 동안 큰 자금 이동이 없는 부분적 휴면 상태였으며, 2015년 8월 18일부터 9월 12일 사이 평단가 1,058 달러에 3,491 ETH를 매수했다"고 설명했다.
[빗썸, SEI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이슈]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세이(SEI)의 네트워크 이슈로 인해 일시적으로 입출금 서비스를 중지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비트멕스·데리비트서 BTC 테이커 매수 급증"]
크립토퀀트의 기고자 Mignolet이 "비트멕스, 데리비트 거래소에서 테이커(시장가 주문) 매수가 급증했다. 가격 상승 이후 장기간 횡보장이 이어지고 있고, 현재 상황은 코로나19 이후 횡보 단계와 유사하다. 숨은 고래들이 가만히 있을까?"라고 전했다. 앞서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비트멕스 등 거래량이 적은 거래소에서 테이커 매수-매도 비율이 급등하는 것은 고래나 대형 투자자의 매수 증가를 나타내는 신호"라고 말한 바 있다.
[웹3 인큐베이터 빌더다오, $200만 투자 유치]
대만 웹3 인큐베이터 빌더다오(BuilderDAO)가 세쿼이아 차이나, 세븐엑스벤처스가 주도한 시드 라운드 펀딩에서 2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빙벤처스(Bing Ventures), M77벤처스, DRK랩스, 미러월드(MirrorWorld), 컨플럭스(Conflux) 등 투자자들도 참여했다. 투자금은 커뮤니티 구축, 토크노믹스 개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251만(롱 $93만, 숏 $158만)
청산 비율: 숏 62.87%
2. ETH
청산 규모: $154만(롱 $59만, 숏 $95만)
청산 비율: 숏 61.51%
[인도 총리 "글로벌 암호화폐 프레임워크 필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비즈니스투데이와 인터뷰에서 "글로벌 암호화폐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급속한 기술 성장을 무시해선 안 된다. 다만 통일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암호화폐와 같은 신기술에는 범국가적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라발라, 지갑 점검 진행..."AVA 토큰 ERC20 스왑 지원"]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여행 플랫폼 트라발라닷컴(AVA)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향후 24~48시간 동안 플랫폼 지갑의 점검 작업을 진행한다. 점검 이후 AVA 토큰 스왑을 지원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앞서 트라발라닷컴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8월 28일 12시부터 기존 BNB체인 BEP-2, BEP-20 기반 AVA 토큰의 이더리움 ERC-20 스왑을 지원하기 위해 지갑 업데이트를 진행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스왑 완료 후 기존 BEP-2, BEP-20 기반 AVA 토큰은 AVAOLD로 심볼이 변경되며, 이더리움 ERC-20 기반 토큰이 AVA 심볼을 이어받는다. 코인마켓캡 기준 AVA는 현재 1.83% 내린 0.51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해시키 프로, 해시키 익스체인지로 사명 변경]
아시아 소재 디지털자산 관련 투자사 해시키그룹이 론칭한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해시키 프로가 해시키 익스체인지로 사명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홍콩 증권선물감독위원회(SFC)가 고시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운영자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련 규정 및 약관을 개정했다고 덧붙였다. 해시키 익스체인지는 오늘부터 홍콩 개인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이낸스, 8/30 BEP20 토큰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BNB 스마트 체인(BEP20)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바이낸스는 한국시간 기준 8월 30일 16시 15분부터 BEP20 기반 토큳의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 BNB 스마트 체인은 블록높이 31,302.048에서 하드포크를 진행하며, 한국시간 기준 30일 16시 30분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솔라나 클락워크 팀, 수익성 악화로 개발 중단]
솔라나 기반 자동화 네트워크 클락워크(Clockwork)가 수익성 악화로 개발을 중단한다고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클락워크 개발자인 X 계정명 닉(Nick)은 "오는 10월 31일부로 데브넷, 메인넷의 노드를 종료할 예정이다. 코드는 오픈소스로 유지돼 깃허브에서 자유롭게 포크할 수 있다"고 전했다.
[홍콩 통화청 주도 블록체인 무역금융 프로젝트, 8월 말 운영 종료]
홍콩 현지 미디어 이코노믹 저널(hkej)에 따르면, 홍콩의 중앙은행 격인 통화청(HKMA)이 주도하던 블록체인 기반 은행간 무역금융 플랫폼 '이트레이드커넥트'(eTradeConnect)가 오는 8월 말 운영을 종료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hkej는 "해당 프로젝트는 지난 2018년 무역금융 프로세스의 효율을 제고하고, 중국 인민은행의 디지털 위안화 연구소가 출시한 '무역금융 블록체인 플랫폼'과의 상호 연결을 목표로 출범했다. 홍콩 현지 은행 중 다수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이후 HKMA가 출시한 CDI(Commercial Data Interchange) 서비스와 기능이 겹치고 은행 및 규제 기관의 참여율 저조로 플랫폼 운영 중단이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0% / 숏 52.0%
1. 바이낸스: 롱 48.9% / 숏 51.1%
2. OKX: 롱 47.9% / 숏 52.1%
3. dYdX: 롱 49.0% / 숏 51.0%
[원화 거래소, 9월부터 최소 30억원 준비금 쌓아야]
뉴스1에 따르면 실명계좌를 발급받은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오는 9월부터 최소 30억원, 일평균 예치금의 30%(최대 200억원) 중 큰 금액을 준비금으로 은행에 적립해야 한다. 해킹, 전산장애 등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서다. 은행권은 이외에도 고객인증 강화, 추심이체 시 추가 인증 등 이용자 보호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CBDC 개발 130개국 중 한국 포함 9개국서 파일럿 운영]
코인게코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개발에 나선 국가는 130개 국이며, 이 중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 중인 지역은 9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역은 우루과이, 동카리브해 통화동맹(ECCU),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중국, 프랑스, 아랍에미리트(UAE), 한국, 일본이다. CBDC를 정식 발행한 국가는 3 곳으로 바하마, 자메이카, 나이지리아다. 이외 미국, 영국, 유럽연합(EU)은 CBDC 연구 단계에 있다.
[업비트, SEI 입출금 일시 중단...월렛 시스템 점검]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세이(SEI) 월렛 시스템 점검 작업 진행에 따라 SEI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EI는 현재 0.67% 내린 0.12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1인치 팀 추정 주소, $1007만 상당 ETH 매수"]
엠버C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약 5시간 전 1인치(1INCH) 팀으로 라벨링된 주소가 1,000만 USDT, 7만 USDC를 사용해 6,087.7 ETH를 매수했다. 평균 매수가는 1,655 달러다. 앞서 7월 5일 해당 주소는 1,100 ETH(약 2097만 달러)를 평균 1,906 달러에 매도한 바 있다"고 분석했다.
[시바리움 브릿지 출금 재개]
더블록에 따르면 메인넷과 브릿지를 일시 중단했던 시바리움 팀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브릿지 출금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시바리움 팀은 "시바이누(SHIB), wETH, LEASH 출금을 45분에서 4시간 이내 완료할 수 있다. SHIB 생태계 토큰인 BONE도 출금이 가능하지만 트랜잭션 처리에 최대 7일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바이누 팀은 지난 17일 시바리움을 출시했지만 트랜잭션 병목 등을 이유로 네트워크 가동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헤이비트, 10/2 서비스 종료 공지]
뉴시스에 따르면 디지털 종합 재테크 서비스 헤이비트가 오는 10월 2일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헤이비트는 지난 6월 돌연 입출금을 중단해 파장을 일으켰던 하루인베스트, 델리오와 유사한 업체로, 당시에는 사태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헤이비트는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고 안정적인 디지털자산 재테크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규제 당국의 정책 가이드라인(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맞춰 하베스트 서비스 종료를 결정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