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키리 CIO "BTC 현물 ETF 승인 자신"]
발키리 인베스트먼트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스티븐 맥클러그(Steven McClurg)가 CNBC 크립토 월드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될 것이라는 자신감이 크다"고 밝혔다. 이날 발키리는 BTC 현물 ETF 신청서의 업데이트 버전을 제출한 바 있다.
[외신 "美 인플레 완화 일시 현상 가능성...금리인하 기대 시기상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내년까지 3.5%대 인플레이션율이 유지된다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고 15일 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결정하고, 연준의 보다 비둘기파적 입장 발표로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 자산 가격이 급등했다. 하지만 인플레와의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경기 둔화 조짐이 관측되지 않아 내년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용 "스테이블코인, 통화정책에 부정적…CBDC 도입 시급"]
뉴시스에 따르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2023 MOEF-BOK-FSC-IMF' 컨퍼런스에서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화폐의 단일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고, 화폐 발행 주조차익과 통화정책 수행 방식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제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성을 지닌 중요한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규제를 받지 않은 스테이블코인은 이름과는 달리 가치 측면 등에서 불안정하다"면서 "중앙은행의 화폐 등을 구축(crowding out)할 경우 금융시스템이 과연 안정적으로 움직일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렛저 "익스플로잇 인지 40분 이내 코드 수정...피해자금 복구 도울 것"]
지난밤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진 암호화폐 하드월렛 업체 렛저(Ledge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중앙유럽표준시 기준 14일 오전 발생한 익스플로잇을 인지한 뒤 40분 이내에 코드를 수정 완료했다. 배포된 악성 파일은 약 5시간동안 존재했지만, 자금이 유출된 기간은 2시간 이내로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악성 파일은 비활성화됐으며, 수정 사항을 반영한 레저 커넥트 키트 1.1.8 버전을 배포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렛저 측은 "한 렛저 전 임직원이 피싱 공격에 노출돼 NPMJS 계정을 도난당한 것이 시발점이 됐다. 공격자는 악성 코드를 심은 렛저 커넥트 키트를 배포했고, 사용자들의 이체 자금을 해커 지갑으로 라우팅했다. 현재 피해 규모를 조사 중이며 영향을 받은 사용자가 도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익스플로잇은 렛저 커넥트 키트를 사용하는 타사 댑(dApp)에만 피해를 입혔다"고 설명했다.
[오늘 $15.7억 상당 BTC 옵션 만기]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12월 15일 17시 15.7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이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1.02, 맥스페인(max pain,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 가격은 42,000 달러다. 아울러 같은 시간 6.2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 옵션도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66, 맥스페인 가격은 2,250달러다.
[마라톤 디지털 CEO "2년 내 경쟁 채굴업체 인수 계획"]
비트코인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Marathon Digital Holdings)의 CEO 프레드 틸(Fred Thiel)이 최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2년 내 경쟁 비트코인 채굴업체 및 관련 인프라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과 2025년, 상당한 사업 확대를 계획 중이다. 아마 우리가 업계 통합을 이룰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암호화폐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늘어날 것이고, 채굴업체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CB, 분산원장기술 활용 결제 테스트 참가 업체 모집 시작]
렛저인사이트에 따르면 유럽중앙은행(ECB)이 중앙은행 자금을 사용해 분산원장기술(DLT) 네트워크 결제 테스트에 참가할 업체 모집을 시작했다. 1차 신청은 내년 1월 31일, 2차 신청은 4월 30일 마감된다. 참가 자격은 ▲타겟(TARGET) 결제 시스템에 액세스가 가능한 은행 또는 기관 ▲적격 중앙 증권 예탁기관 ▲DLT 파일럿 제도에 따른 플랫폼 운영자 ▲DLT 플랫폼을 운영하는 라이선스 기관 등이다.
[솔라나 스마트폰 사가, BONK 가격 상승에 판매량 증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솔라나(SOL) 생태계 밈코인 봉크(BONK) 가격이 상승하며 솔라나 기반 웹3 스마트폰 사가(Saga)의 판매량이 동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가 스마트폰 구매 시 제공되는 3천만 개의 BONK 토큰 에어드랍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솔라나의 공동 창업자인 라지 고칼(Raj Gokal)은 “사가 판매량이 지난 48시간 동안 10배 이상 증가했으며 새해가 되기 전에 준비된 재고가 매진될 것 같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기업 세이프문, 챕터7 파산 신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기업 세이프문(SFM, SafeMoon)이 미국 법원에 챕터7 파산 신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1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사기, 미등록 증권 판매, 자금세탁 혐의로 세이프문 및 세이프문 경영진을 기소한 바 있다.
[美 FSOC, 의회에 '암호화폐 규제법 제정' 재차 촉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가 최근 발표한 연례 보고서를 통해 "의회는 암호화폐 현물 시장과 스테이블코인을 정의하고 규제하는 법안을 제정해야 한다"고 지난해에 이어 재차 촉구했다. 보고서는 "의회는 유가증권으로 분류할 수 없는 암호화폐 현물 시장에 대한 명시적인 규칙 제정 권한을 규제당국에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등 포괄적인 시장 건정성 유지 프레임워크를 구축, 시장 무결성, 투자자 및 소비자 보호, 결제 리스크 완화 등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만약 포괄적인 규제법이 제정되지 않는다면 위원회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퓨라, 키 관리 간소화 시스템 UKE 기능 출시]
컨센시스 산하 웹3 API 제공업체 인퓨라(Infur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키 관리 시스템을 간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UKE(Unified Key Experience)' 기능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UKE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여려 키 유형을 각각 관리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게 인퓨라 측은 설명했다.
[수이 재단, 생태계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에 2500만 SUI 지원 예고]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수이 재단은 생태계 내 3개의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과 각각의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을 지원하기 위해 2500만 SUI(약 1,630만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재단 측은 "수이 기반 디파이(DeFi)에 유동성 확대가 주요 목적이며, 스왑 및 기타 디파이에서 활용될 LST 유동성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동성 스테이킹을 통해 SUI 소유자는 토큰을 밸리데이터에게 위탁, 보상을 받는 동시에 일반적인 디파이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LST를 받아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게 수이 측의 설명이다.
[스크롤, 오리진 NFT 민팅 오픈]
이더리움(ETH) zkEVM 확장성 레이어2 프로젝트 스크롤(Scroll)이 스크롤 오리진 NFT 민팅(발행) 페이지를 오픈했다. 스크롤 메인넷에 컨트랙트를 배포한 개발자만 해당 NFT를 민팅할 수 있다.
[파르카나, 시드 라운드서 $1000만 투자 유치]
디크립트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웹3 게임 개발사 파르카나(Farcana)가 시드 라운드에서 10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애니모카 브랜드, 폴리곤 벤처스, 펜부시 캐피털, 메릿 서클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의 구체적인 사용처는 공개되지 않았다.
[외신 "지난해 개발자 에어드랍 BONK 가치, 인당 $50만까지 상승"]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가 "지난해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BONK 출시 당시 솔라나 개발자 커뮤니티 램포트다오(LamportDAO)에 할당된 에어드랍 토큰 가치가 인당 약 50만 달러까지 상승했다"고 15일 보도했다. BONK는 출시 당시 총 공급량의 5%를 솔라나 개발자들에게 할당했으며, 에어드랍을 신청한 적격 솔라나 개발자들은 각각 250억 BONK를 수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가치는 약 300 달러 수준이었지만, 최근 BONK 가격 급등으로 250억 BONK의 가치는 현재 약 57.5만 달러까지 상승했다.
[포사이트X, $1000만 규모 웹3 보조금 프로그램 출범]
포사이트 벤처스 산하 웹3 액셀러레이터 포사이트X가 1000만 달러 규모의 보조금 지원 프로그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멘토링, 파트너 추천, 수료 데모데이, 자금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선정 프로젝트 당 자금 지원 규모는 각 20만~50만 달러 규모로 알려졌다.
[셀시우스 추정 주소, 7500 ETH 팔콘엑스로 이체]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셀시우스 네트워크 추정 주소가 약 7시간 전 7,500 ETH(약 1727만 달러)를 팔콘엑스로 이체했다. 셀시우스의 ETH PoS 스테이킹 주소는 지난 11월 13일 이후 총 9만102 ETH(2.07억 달러)를 특정 주소(0x413로 시작)로 이체한 뒤 이를 코인베이스, OKX 등 거래소로 이체했다"고 전했다.
[핀시아, 토큰이코노미 업데이트 추진..."최대 공급량 10억개→무한대"]
핀시아(FNSA·구 라인 블록체인)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FNSA 토큰이코노미 관련 주요 업데이트를 추진한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FNSA 최대 공급량 기존 10억개에서 무한대로 수정 ▲FNSA 언본딩 타임 24시간에서 7일로 변경 ▲소프트웨어 및 정책 버전 관리 포맷 세분화 등이다. 특히 FNSA 최대 공급량 변경과 관련 재단 측은 "최대 공급량이 변경되더라도 FNSA 토큰의 시장 유통 속도나 수량, 체인 프로토콜 및 실제 FNSA 사용 범위 등에 영향은 가지 않는다. 무제한 발행은 기존 10억 개 최대 발행량을 초과하지 않으며, 과도한 토큰 발행을 의미하지 않는다. FNSA 인플레이션율은 스테이킹 및 결제 활성화를 위해 연간 최대 15%로 설정되며, 네트워크 활성도 및 안정성에 따라 최대 5%로 유지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되는 내용은 핀시아 거버넌스 멤버(FGM)의 의견 수렴 후 거버넌스 투표를 거칠 예정이다. 투표 결과에 따라 핀시아 v2.0 정책에 반영된다.
[페이브뱅크, $520만 투자 유치...스테이블코인·토큰화 자산 플랫폼 구축 추진]
핀엑스트라에 따르면, 프로그래머블 핀테크 스타트업 페이브뱅크(Pave Bank)가 최근 진행한 펀딩 라운드에서 52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 이날 페이브뱅크는 조지아에서 디지털 상업은행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페이브뱅크는 기업이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토큰화 자산(RWA)을 거래할 수 있는 규제 적격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
[퓨처머니그룹·IOTX 재단, $500만 규모 DePIN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출범]
사물인터넷(IoT) 결합 블록체인 플랫폼 아이오텍스(IOTX)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웹3 투자사 퓨처머니그룹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500만 달러 규모의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액설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프로그램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각각 5만 달러 상당의 투자와 추가 자금 조달 기회가 주어진다. 프로그램은 오는 12월 24일부터 내년 1월 14일까지 참여 프로젝트 신청을 접수하며, 내년 2월 말 첫 데모데이를 개최하며 마무리 될 예정이다. 총 6주간 진행되는 프로그램에서 양사는 선정 프로젝트에 네트워킹 기회, 자원, 멘토링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a16z 설립자 “혁신 기술 친화적 정치인 적극 후원할 것”]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유명 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공동 설립자 벤 호로위츠(Ben Horowitz)가 “정치 후원금을 비롯한 우리의 로비 파워는 기술 지향적 미래를 지지하는 정치인을 돕고, 기술을 압살하려는 정치인을 반대하는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기술 친화적 정치인에게 로비 활동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는 규제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치화 된 규제는 종종 산업 자체를 말살시키고는 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은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두 가지다. 블록체인은 보다 공정하고 포용적인 경제 시스템을 만들고, AI는 인류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생활 수준을 안겨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원, IOST 입출금 일시 중단...서비스 안정화]
코인원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아이오에스티(IOST)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IOST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