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2대 원자재 ETF 자산군...은 제쳐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은을 제치고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원자재 ETF 자산군으로 올라섰다. 운용자산(AUM) 기준이다. 비트코인 ETF 합계 가치는 279억 달러로, 이는 647,651 BTC에 상당한다. 이중 그레이스케일 보유량만 60만 BTC 정도다.
데이터 "GBTC 제외 BTC 현물 ETF 10개 나흘간 $29억 유입"
비트멕스 리서치가 X를 통해 "GBTC를 제외한 BTC 현물 ETF의 나흘 간 누적 자금 유입액이 29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유입액 기준 블랙록이 10억 8,500만 달러, 피델리티가 8억 8,400만 달러, 비트와이즈가 3억 7,500만 달러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비트멕스 리서치는 GBTC 데이터는 아직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가상자산 美제도권 편입 움직임에 “특정 방향성 갖지 말도록 했다”
조선비즈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18일 최근 미국에서 승인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등 가상자산이 제도권에 편입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관련, “주무 부처인 금융위원회에 ‘한다, 안 한다’는 특정한 방향성을 갖지 말도록 얘기한 상태”라고 말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가상자산 제도화를 위한 검토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나라 법률 체계를 적절하게 변화시키거나 또는 해외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우리나라에 수용될 수 있거나, 이런 방향을 함께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어떻게 하면 또 하나의 투자 자산적 요소가 있으면서도 다른 금융상품이나 실물 경기에 부작용, 위험 요인이 되지 않게 할 수 있을지 좀 더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대통령실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힘에 따라 정부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재검토할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분석 "ETH, $2450선 하락 후 회복시 대폭 반등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 맥디(MAC_D)가 "현재 이더리움(ETH) 선물 롱포지션(공매수) 대규모 청산이 있었던 캔들 꼬리 저점은 2,450 달러 부근인데, ETH가 이 가격대로 하락한 뒤 곧바로 회복한다면 대폭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하락한 뒤 회복에 실패한다면 투심이 전환되며 하락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6번의 중요한 매수 기회가 있었다. BTC 현물 ETF 승인 이후인 1월 12일에는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롱포지션 청산이 발생해 가격 조정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청산은 종종 긴 꼬리 캔들을 만드는데, 이는 롱포지션 청산과 동시에 고래로부터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격이 긴 꼬리 캔들 저점에 도달하면 시장은 극단적인 심리를 보이며, 이는 상승과 하락 추세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100억대 사기 혐의’ 이정훈 빗썸 전 의장, 2심도 무죄
이투데이에 따르면 1100억원대의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의장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 받았다. 재판부는 검찰이 제시한 증거만으로는 이 전 의장이 코인 상장을 약속했다고 볼 수 없다며 이 같이 판결했다.
싱가포르 통화청 "개인, 암호화폐 현물 ETF 투자 불가"
외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개인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현물 ETF에 투자할 수 없다"고 밝혔다. MAS는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집합투자기구(CIS) 상품은 증권선물법에 의해 규제되며 여기엔 ETF 포함된다. 현재 BTC 등 암호화폐(디지털 결제 토큰, DPT)는 개인 CIS 상품으로 적합하지 않다. 암호화폐는 본질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투기적이므로 개인들이 투자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아스타, 일본 2대 광고업체 등과 파트너십
일본계 퍼블릭체인 프로젝트 아스타(ASTR) 설립자 소타 와타나베(Sota Watanabe)가 X를 통해 "일본 2대 광고업체 하쿠호도DY홀딩스, 일본 시스템 통합기업 NTT 데이터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쿠호도와 NTT 데이터, 아스타 재단의 스핀아웃 웹3 기업인 스타테일랩스 등은 기업 대상 웹3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태국, 일부 프로젝트 ICO 개인 투자 상한제 폐지
외신에 따르면 태국 증권 규제 당국이 부동산 및 인프라 프로젝트 기반 디지털화폐(ICO)에 대한 개인 투자 상한제를 폐지했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1월 16일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앞서 태국은 개인당 최대 30만바트(1132만원)까지만 이러한 디지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한 바 있다.
비트와이즈 BTC 현물 ETF, 상위 25위권 ETF 랭크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 최고경영자(CEO)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가 X를 통해 "지난해 540개 이상 ETF가 출시됐는데, 비트와이즈 BTC 현물 ETF의 운용자산(AUM)은 약 3억 5500만 달러(BTC 가격 하락 반영)로 현재 AUM 기준 상위 25위 안에 랭크돼 있다. 이는 출시 4일 만에 이룬 성과"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비트와이즈 BTC 현물 ETF가 어제(현지시간) 1,598 BTC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ETF는 17일 기준 총 8,309 BTC(3.5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애널리스트 "BTC 옵션 변동성 하락...현물 ETF 승인 파급력 감소"
암호화폐 옵션 전문 분석 업체 그릭스닷라이브(Greeks.live) 매크로 연구원 애덤(Adam)이 X를 통해 "BTC 현물 ETF 승인이 시장에 미치는 단기 영향은 어느 정도 해소됐다. BTC 실현 변동성(RV)과 내재 변동성(IV)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고, 특히 단기 IV는 45%를 하회한다. 옵션 시장에서는 당분간 좁은 범위 내 변동성만 보일 것으로 기관들은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유럽, 암호화폐 기업 '1000유로 이상 거래 고객 실사' 의무화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유럽 의회와 이사회(27개 회원국 재무장관 회의체)가 암호화폐 기업이 1,000유로 이상 거래 고객에 대한 실사 조치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의 규제안 시행에 합의했다. 실사 대상에는 자체 호스팅 월렛을 이용한 거래도 포함된다. 앞서 유럽은행감독청(EBA)은 자금세탁방지 조치를 암호화폐 기업까지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 되면 CBDC 발행 불허하겠다"
포스트밀레니얼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수요일(현지시간) 뉴햄프셔 예비선거 연설에서 "대선에서 당선되면 미연준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발행하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CBDC는 연방정부가 국민들의 돈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권을 쥐도록 해준다. 이는 자유를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트와이즈 BTC 현물 ETF, 어제 1598 BTC 순매수
약 1.31만 명의 X 팔로워를 보유한 익명의 비트코인 투자자 CC15Capital이 "비트와이즈 BTC 현물 ETF가 어제(현지시간) 1,598 BTC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ETF는 17일 기준 총 8,309 BTC(3.5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美 상원의원, 비트코인 기본 권리 보장 법안 발의
비트코인뉴스에 따르면 미국 상원의원 사담 아즐란 살림(Saddam Azlan Salim)이 비트코인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에는 ▲셀프 커스터디 ▲채굴할 권리 ▲노드 운영 권리 ▲수익 상한(cap gains, $200 이하) 폐지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BTC 가격 변동성 지수, 현물 ETF 출시 후 30% 하락
글로벌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린(Lin)이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 승인 후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 지수(DVOL)는 70에서 50으로 약 30%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절반이 넘는 기간(약 55%)은 비트코인 DVOL이 50 이상을 기록했었다. 시장은 한동안 횡보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포지션을 구축하고 싶은 투자자는 현물로 시간을 두고 진입하거나 풋옵션 매도를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패러다임 "ETH 프라하 업그레이드, 3분기 테스트넷 적용 및 연말 메인넷 적용 전망"
암호화폐 전문 벤처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의 레스(Reth) 개발팀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더리움(ETH) 칸쿤 업그레이드에 이어 프라하(Prague) 업그레이드가 올 3분기 테스트넷에서, 연말에는 메인넷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프라하 업그레이드에는 리스테이킹 및 무신뢰 스테이킹 풀 허용 기능을 골자로 한 ▲EIP-7002를 비롯해 ▲EIP-6110 ▲EIP-2537가 포함돼야 한다. 또 우리는 레이어 검열 저항에 도움을 줄 수 있는 ▲EIP-7547을 출시할 준비도 마친 상황이다. 아울러 프라하 또는 다른 이더리움 하드포크에 대해 연구 중인 다른 팀들과도 협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분석 "온체인 지표상 BTC 새 랠리 시그널 전무...여전히 조정 구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크립토퀀트가 "여러 온체인 지표를 종합적으로 살펴봤을 때 BTC 가격 조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거나, 적어도 새로운 랠리가 시작될 시그널은 없다. 단기 투자자와 고래들은 여전히 '위험회피' 태도를 견지한채 BTC를 매도하고 있다. 미실현 이익률도 매도세가 잡힐 정도로 내려가지도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BTC 현물 ETF 출시 초기 성공은 분명하지만, 시장에는 가격 하락 가능성도 공존하고 있다. BTC 가격은 현물 ETF 출시 이후 15% 하락했으며 여기에는 그레이스케일의 GBTC 자금 이탈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트루USD "TUSD 디페깅 정상 범주...출금 채널도 원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트루USD(TUSD)가 최근 발생한 TUSD 디페깅과 관련해 "우리는 현재 정기적인 감사를 받고 있다. 아울러 최근 바이낸스 런치풀과 관련된 커뮤니티의 마이닝 활동이 단기 차익거래로 이어진 정황을 포착했다. 이는 시장 역학 및 유동성 조정 측면에서 정상으로 간주된다. TUSD 출금 채널은 현재도 원활히 작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TUSD/USDT 기준 TUSD는 0.98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저스틴 선 추정 주소, TUSD 페그 회복 위해 $1.4억어치 매수"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X를 통해 "TUSD가 디페깅된 이유는 지난 15일 바이낸스가 MANTA 런치풀 참여 가능 자산으로 TUSD를 제외하면서 TUSD 홀더들의 매도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바이낸스 데이터를 보면 주로 고래들이 TUSD를 매도했다. 온체인 데이터를 봐도 유통량이 2개월 간 43% 감소했다(유통량의 90.4%는 바이낸스에 예치돼 있음). 디페깅 발생 후 560일간 휴면 상태였던 고래는 바이낸스에 250만 TUSD를 입금하기도 했다. 반면, 저스틴 선 트론 설립자를 포함해 2명 고래가 페그 회복을 위해 TUSD를 매수하고 있다. 저스틴 선 추정 주소는 1.04억 TUSD를 소각한 뒤 바이낸스에 2억 USDT를 입금, 그후 1.39억 TUSD를 출금했다"고 전했다. 앞서 트루USD는 "이번 TUSD 디페깅은 시장 역학 및 유동성 조정 측면에서 정상으로 간주되며 출금도 원활하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