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후드(HOOD)가 올해 1분기 매출 감소와 암호화폐 거래량 둔화에도 불구하고 월가 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4월 30일(현지시간) 공개된 로빈후드의 1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9억 2700만 달러(약 1조 3,530억 원)로 전분기 대비 8.6%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정보업체 잭스(Zacks)의 예측치를 3.16% 웃돌았다. 이는 전분기 암호화폐 호황 이후 다소 조정된 수치지만 시장 예상보다는 견조한 흐름을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로빈후드는 전분기인 2024년 4분기에 사상 최대 암호화폐 수익을 올린 바 있지만, 이번 분기에는 관련 수익이 30% 가까이 감소한 2억 5200만 달러(약 3,680억 원)를 기록했다. 특히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해당 기간 동안 약 18% 가까이 하락한 점이 실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장 조정의 원인 중 하나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지목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량도 전분기 대비 35% 줄었다. 로빈후드는 이에 대해 고객당 평균 거래 금액이 27% 감소했고, 거래 건수 자체도 10% 줄어든 결과라고 설명했다. 거래 참여도가 약화된 점이 수익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전년 동기와 비교할 경우 로빈후드의 암호화폐 사업은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암호화폐 매출은 1년 전보다 두 배로 늘었으며, 총 거래량은 28% 증가했다. 지난해보다 시장 기반이 확대된 가운데 일시적인 조정 국면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블라디미르 테네브 로빈후드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암호화폐 거래는 본질적으로 변동성이 크지만, 우리는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더욱 집중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재차 강조했다. 이는 단기적인 실적 부침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로빈후드는 이번 분기 실적에서 암호화폐 부문이 약세를 보였지만, 시장 환경 변화와 금리 및 관세 정책의 변수 속에서도 견조한 수익 방어력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재, 플랫폼 사업자들의 전략적 대응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