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G7 정상회의, 북한 암호화폐 해킹 본격 다룬다… 글로벌 대응 논의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0
4

G7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과 사이버 공격이 정식 의제로 논의될 예정이다. 북한은 탈취 자금을 핵·미사일 개발과 정권 유지에 활용해 국제사회가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 문제가 6월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정식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지시간 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암호화폐 탈취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회의 준비 단계에 있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북한은 해킹으로 얻은 수익을 정권 유지와 핵·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이를 국제 안보에 대한 심각한 우려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관련 암호화폐 해킹은 최근 더욱 대담해지는 추세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 2월, 북한의 해킹 조직 라자루스는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에서 이더리움 약 14억6천만 달러(한화 약 2조1천억 원)어치를 탈취했으며, 이 중 최소 3억 달러가 이미 현금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한 보도는 지난 3월 BBC 방송이 전한 바 있다.

뿐만 아니다. 2024년 한 해 동안만 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이 가상자산 거래소 등을 대상으로 47건 이상의 공격을 감행해 약 13억4천만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힌 것으로 추정된다. 피해 규모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북한은 암호화폐 해킹 외에도 정보기술(IT) 인력을 해외에 위장 취업시키고, 이들이 벌어들인 임금을 정권 자금으로 돌리는 수법도 병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이 같은 불법 활동을 단속하기 위해 지난해 말 최대 500만 달러(약 71억5천만 원)의 현상금을 걸고 북한 IT 노동자 송출이나 자금세탁에 연루된 중국·러시아 기업에 대한 제보를 공개 수배한 바 있다.

북한의 사이버 활동이 날로 정교해지고 본격적인 외화벌이 수단으로 자리잡으면서, 국제사회도 이에 대한 대응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암호화폐가 새로운 경제전략 도구로 악용되는 만큼, 글로벌 공조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