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5월 22일 워싱턴 D.C.에서 그의 밈코인을 대량 구매한 투자자 최대 220명을 초청하는 비공개 행사를 열 예정이다.
5월 19일 기준 정확한 참석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블록체인 데이터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만찬 및 ‘VIP 투어’ 자격을 얻은 인물들이 포착됐다. 특히 이 행사가 백악관에서 열릴 것으로 추정되며, 220개 지갑 중 절반 이상이 외국인 명의일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이는 미국 대선 후보의 공식 행사로 특정 암호화폐 투자자층을 초청한다는 점에서 정치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만찬 신청자 중에는 신세틱스(Synthetix) 창립자인 케인 워릭, 컨설턴트 빈센트 데리우, 밈코인을 단 1,200달러(약 175만 원)만에 구매한 것으로 알려진 암호화폐 사용자 모르텐 크리스텐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철저한 신원조회 절차를 거쳐야만 최종 참석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고문 ‘오글’이라는 가명을 쓰는 인물, 싱가포르 스타트업 밈코어(MemeCore)의 대표가 이름을 올렸으며, 대만 기반 크로노스리서치(Kronos Research)의 최고투자책임자 빈센트 리우 역시 행사 참석 의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행사 발표 이전부터 트럼프의 밈코인을 둘러싼 논란은 정치권을 강하게 자극해왔다. 의회에서는 외국 이해관계인이 대통령 재선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뇌물 수수 및 이해 충돌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이 같은 행보가 대통령의 공적 지위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비투명한 기부’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러한 논란은 현재 상정 중인 디지털 자산 입법 논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규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스테이블코인 법안과 하원에서 초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시장 구조 개편 법안이 이에 해당한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트럼프의 암호화폐 부패 문제가 다뤄지기 전까지는 어떤 디지털 자산 법안에도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정치와 암호화폐가 맞물리는 현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및 입법 환경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